대학이 학문의 전당이란 말은 이제 생각할 수가 없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대학을 갓 졸업한 청년이 아니라도, 취업을 삶의 목표로 삼는다.
이러니, 갓 졸업한 사회 초년생은 취업의 문턱에 서보지도 못하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선, 모든 사회가 나서, 취업에 도움을 줘야한다. 또 취업문제는 그들에게만 전적으로 책임을 맡길 수도 없다. 정부도, 지자체도, 대학의 학사행정도 힘을 다해야한다.
우리사회는 취업의 난민사회이다. 지난 1월 대학 알리미와 개별 대학 취업률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최근 발표한 ‘20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대학 전국 평균 취업률은 62.6%로, 전년도 64.3%에 비해 1.7%포인트(p) 하락했다. 대구 취업률은 전년도 57.9%보다 1.4%p 떨어진 56.5%였다. 경북은 62.1%에서 59.4%로 떨어져 하락 폭(2.7%p)이 더 컸다. 역시 같은 달 취업 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국내 4년제 대학의 졸업 예정자 1천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정규직에 취업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11.0%에 불과했다. 79.0%는 아직 취업하지 못했다. 졸업 전 정규직 취업자 비율은 지난 2016년 1월 조사 때(16.9%)보다 5.9%포인트나 낮았다.
지난 2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이른바 ‘장기실업자’는 지난달 15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8천명 늘었다. 1월 기준 장기실업자는 2000년에 16만7천명을 기록한 후, 최근 19년 사이에는 지난달이 가장 많았다. 지난달 구직 단념자는 60만5천명이었다. 1월 기준으로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집계를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많았다. 우리사회는 실업자와 구직자의 사회라고해도 좋을 지경까지로, 와서, 정차(停車)하고 있는 셈이다.
이참에 경북도가 취업행정을 펴기로 했다. 경북도는 지난 4일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와 대구한의대학교에서 경북형 대학일자리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경북형 대학일자리센터는 직업 진로지도 및 취·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취업상담 및 알선서비스도 제공한다. 지역청년 고용관련 주요사업 안내, 지자체 및 고용 유관기관 협조 등 지역 청년들의 취·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원스톱 맞춤서비스 제도행정이다.
경북도는 대학 내 취·창업지원 인프라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등 청년들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2월 광역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공모했다. 경북도내 6개 대학을 경북형 대학일자리센터 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했다. 경북도는 지역 대학의 취업지원 여건개선이 절실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경북대(상주캠퍼스), 금오공대, 대구한의대, 경북도립대학, 포항대학, 호산대학 등을 경북형 대학일자리 센터를 설치했다. 경북도·시·군의 소재 대학에 5년간 총 37억5천만 원의 사업비(도40%, 시·군40%, 대학 20%)를 지원한다. 경북도는 올해 신규로 문을 여는 6개 대학의 경북형 대학일자리센터와 기존 12개 대학일자리센터의 시너지 효과로 지역 청년들의 취·창업과 진로모색에 큰 도움이 되고, 청년취업률 향상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북도는 이 밖에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의 구직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청년 행복뉴딜 프로젝트, 1사-1청년 더 채용지원, 해외 취업지원, 청년 무역 전문 인력양성, 대학연합 취업캠프 등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정책을 추진한다.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대학과 기업, 지자체가 함께 머리를 맞대, 지역 청년들이 취업의 문을 당당히 열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경북도의 취업행정을 평가하고 난 다음엔, 경북형에다 현실형으로 대학일자리센터를 더욱 확대하길 주문한다. 일자리의 밑동엔 기업하기 좋은 지역이 우선이다. 기업은 일자리의 산실이다. 대학은 앞으로 미래의 먹을거리를 위한, 학과를 신설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