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의 모든 것은 자연의 혜택이다. 자연 중에서도 나무는 생명의 산소를 공급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나무는 우리들에게 아낌없이 준다. 이 같은 나무지만 사람들은 나무를 마구잡이로 베고만 있다. 여기에 비례하여, 나무가 소멸하는 탓에 인류는 이상기후 등의 보복을 당한다. 나무를 고르게 나눔은 최상의 보편복지이다. 산림의 보편복지는 산림을 기반으로 산림문화·휴양, 산림치유 및 교육 등의 서비스를 창출한다.
경북도의 산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인 630만㏊의 약 21%에 달하는 134만㏊이다. 2015년 산림청에 따르면, 경북도에서 2005년~2010년도 사이에 사라진 산림면적은 전국 두 번째 많았다. 3,395ha가 감소했다. 각종 난개발과 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5년 사이 여의도 면적의 87배에 달하는 산림이 사라졌다.
지난 2월 미국 버밍햄대학은 컴퓨터 자료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숲의 CO2 저장 능력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숲이 저장한 CO2의 절반 이상을 140년 이하의 젊은 숲이 갖고 있어, 열대 우림을 능가했다. 지난달 최근 3년간 경북에서 잘려나간 산림만 해도 축구장(7,140㎡) 1,100개 규모인 790㏊나 된다. 산을 깎아 태양광 패널을 까는 것에 기인했다. 경북 봉화군은 전국에서 산지 훼손이 가장 심했다. 지난 3월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이 공장 유치에 못지않게, 공원과 녹지의 조성 및 관리 실적으로 평가받아야 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산림이 가장 많고, 나무도 가장 많은 고장인 경북도에 나무가 사라진다는 것은 경북도가 그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에 따라 경북도 포항시가 구룡포읍 석병리 산69번지 호미반도에 산림복지지구가 들어선다. 산림복지지구는 국민들에게 산림교육·휴양·치유 등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된 구역이다. 산림복지지구 내에는 기본시설인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선택 시설인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등 다양한 산림복지시설과 서비스를 결합한, 산림복지단지를 조성한다.
포항 ‘호미반도 산림복지지구’는 동해안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호미곶과 구룡포 중간에서 동해바다를 맞댄 곳이다. 바다를 바로 조망할 수가 있는 천혜의 지역이다. 총사업비 263억 원을 투입해, 동해를 바라보면서 산림휴양·치유 및 산림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산림복지단지이다. 올해 산림복지지구 지정을 고시한다. 내년부터 2021년까지 조성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한 후 2024년까지 완료한다.
경북도는 포항 ‘호미반도 산림복지단지’조성으로 일자리를 창출한다. 기존 관광자원과 연계한 관광활성화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산림복지단지조성 사업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중 산림청 핵심 사업이다.
경북도내에는 2017년 12월 봉화 ‘문수산 산림복지지구’가 지정되어 현재 조성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전국에는 8곳의 산림복지지구가 지정됐다. 경북도는 2017년 ‘경상북도 산림복지단지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통하여 경북도 내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등 기존 산림복지시설 중에서 내륙권, 산악권, 해안권 등 권역별로 대상지를 선정한 후 지난해 포항, 구미, 안동 등 4곳의 산림복지지구 지정 신청을 산림청에 제출했다.
박기원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경북은 산림이 71%이다. 앞으로도 미래 세대를 위해 산림을 최대한 유지·보전한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를 위해 합리적 이용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서 개발이 왜 나오는가. 난개발일 확률이 아주 높다. 문제는 산림복지의 조성으로써, 자본이나 일자리 창출만을 목표로 삼으면, 복지가 아니다. 적어도 산림만큼은 값없는, 선별복지가 아닌, 보편복지로 가야한다. 산림은 국민건강과 직결된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 세금인 재정을 투입한 산림은 국민들 누구나, 숲 치유와 여가를 즐겨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