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자살예방 사후관리 추진 재활촉진·치료비지원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05.21 20:38 수정 2019.05.21 20:38

현대의 특징은 과열경쟁으로, 삶에 피로를 느낀다. 이를 우리는 과로사회 또는 피로사회라고 부른다. 이를 느낀 다음부턴, 어디를 둘러봐도 자기의 삶을 위로받을, 뚫린 구멍이 없다. 막힌 사회라고 불러도 좋은 지경까지 이른다면, 누구나 인위적으로 생을 마감하고 싶은 유혹을 받는다. 이때에 마침 언론이나 각종 미디어에서, 그 누가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구체적인 사실적시의 보도를 접하면, 힘든 삶을 견디고 싶은 마음이 사라질 수도 있다. 이 같은 사회현상을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라고 부른다. 일종의 모방 자살(copycat suicide)이다.
지난 3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자살유해정보 심의현황’에 따르면, 2014~2018년 동안 자살유해정보 심의요청 건수가 총 9,486건에 달했다.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의 ‘2018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16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률(자살률)은 한국은 25.8명이었다. OECD 국가 평균 11.6명보다 훨씬 높았다.
건강보험공단 자료(2014년)에 따르면, 자살한 당사자의 미래소득 감소분만 고려해도,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6조5천억 원이었다. 5가지 주요 사망원인 중 암(14조원)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역시 지난해 10월 교육부에서 받은 ‘학생 정서·행동특성 검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검사에 응한 학생 189만4천723명 중에 4.36%인 8만2천662명이 ‘관심군’, 0.89%인 1만6천940명이 ‘자살위험’으로 분류됐다.
지난해 9월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가정불화, 우울증, 성적비관 등의 이유로 자살한 초중고 학생은 총 556명이었다. 한해 평균 111.2명, 한 달 평균 9.3명이 자살했다. 고등학생이 392명(70.5%)으로 가장 많았다. 중학생이 141명(25.4%), 초등학생이 23명(4.1%)으로 조사됐다. 이 대목에서 학교현장에서 자살교육의 필요성을 요구된다.
이에 경북도는 자살의 시도자와 재시도자의 사후대책에 행정력을 다하기로 했다. 경북도는 지난 17일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보건소·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협력 응급의료기관 관계자 등 70여명이 참석하여, 자살 시도자의 사후관리 협조체계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경북도의 자살률은 2017년 인구 10만 명당 26.0명이다. 전국 평균 24.3명보다 1.7명 높다. OECD국가 평균 자살률 11.9명보다 14.1명 높다. 연간 자살자 수는 696명이다. 하루 평균 2명 정도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자살 시도자의 1년 내 재시도율은 16%이다. 재시도로 인한 사망률은 일반인에 비해 20배 이상 높다. 특히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사후관리 비수혜자의 사망률(14.6%)은 수혜자 사망률(5.9%)의 2배 이상이다.
경북도는 34개 응급의료기관과 협력체계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한 자살 시도자를 정신건강복지센터(24곳)로 연계하여, 정서적 안정과 회복, 재활촉진 및 치료비를 지원한다. 지속적인 상담, 집중사례관리 등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추진한다. 생애주기별로 추진되는 청소년 ‘마음성장학교’, 대학생 ‘정신건강박람회’, 노년기 ‘마음건강백세’사업과 지역특성에 따른 자살예방사업, 자살 유가족에 대한 심리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시행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교육과 생명사랑 위기대응 교육에 이어, 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항들을 논의했다. 김영길 경북도 보건정책과장은 생명의 존귀함을 깨우치고 삶의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자살은 마음의 문제이다. 마음에기에 어떤 의미에선, 행정력이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망률이 높은 자살 재시도자는 그렇지가 않다. ‘마음치유’의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사회병리적인 과로·피로사회에 따신 손길이 필요하다. 각자가 주의를 둘러보면서, 위로와 배려 그리고 이웃 사랑의 나눔으로 자기도 위로받고, 이웃도 위로할 경북도의 정책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