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국가안전대진단, 안전시스템 구축으로 상시 점검해야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05.13 21:05 수정 2019.05.13 21:05

우리사회는 안전에 대한 각종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그럼에도 안전사고는 늘 우리들 곁에서, 걸핏하면 안전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여, 귀중한 생명을 뺏어간다.
지난 1월 행정안전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13세 이상 일반국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하반기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일반국민이 느끼는 사회전반의 안전 체감도는 2.74점(5점 만점)으로 조사됐다. 상반기 2.86점에 비해 0.12점 하락했다. 성폭력(2.33점), 사이버위협(2.31점), 환경오염(2.30점) 분야는 상·하반기 모두 하위권이었다.
지난해 10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5~2017년) 91만599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1만8,925명이 사망하고 108만6,521명이 다쳤다. 하루 평균 17.3명이 사고로 목숨을 잃고, 992명이 부상을 당했다. 사고 유형은 도로 교통, 화재, 산불, 철도, 폭발, 농기계, 등산, 추락, 해양, 가스, 전기(감전), 승강기, 보일러, 항공기, 붕괴, 수난, 자전거, 레저, 놀이시설, 유·도선, 환경오염, 공단 내 시설, 광산 등이었다. 이 정도라면, 사고가 우리사회를 움직인다고 해도, 안전을 책임진 당국은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이에 경북도는 지난 2월 18일부터 4월 19일까지 61일간 도내 6,733개 시설물에 대한 대대적인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했다. 국가안전대진단은 최근 사고가 빈발한 분야와 노후시설 등에 대한 민관합동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국민을 대상으로 자율점검 및 점검결과 게시를 통한 안전실천운동을 함께 추진해, 시설 안전을 확보했다. 안전문화를 제고해, 경북도 내 안전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했다. 국가안전대진단에는 연인원 15,841명이 합동점검에 참여했다. 점검시설 6,733개소 중 1,352곳에 대해서는 관리상태 현지 개선, 노후시설 보수 등 안전실태를 개선했다. 합동점검에는 유관기관과 시민단체 등 민간전문가 6,751명이 함께 참여해 전문성을 높였다. 점검실명제를 실시해, 투명성을 확보하는 등 점검의 실효성을 한층 높였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에서는 가정과 다중 이용업소를 대상으로 자율 안전점검 및 점검결과 게시 실천운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주택용 안전점검표 48만4천4백부를 제작하여 반상회보, 학교 가정통신문, 주민 센터,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을 통해 각 가정에 배포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다중 이용업소를 대상으로 안전점검표 2만3천5백부를 관련 협회 또는 시설주 등을 통해 전달했다.
또한, 지난 3월 14일에는 다중 이용업소 관련 협회와 간담회를 실시했다. 상호 협업을 통해 자율점검 및 점검결과 게시 실천운동도 적극 추진했다.
경북도는 국가안전대진단을 이번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다중이용 업소에 대한 자율점검 및 점검결과 게시 실태 현장점검, 지적된 노후시설에 대한 조치실태 추적관리 등 후속조치 방안을 마련해, 추진해 나간다.
노후 정도가 심한 공공시설은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 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안전시설 인증제’를 통해 안전관리가 모범적인 민간시설을 선정하여 자긍심을 고취하는 등 자율 안전관리문화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후속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이다. 최웅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도민 안전의식을 높이고 도내 안전시스템을 조기 정착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경북지역에서 2,187건의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해 397명이 숨졌다. 경북도는 119 출동 건수, 교통통계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안전경북은 안전진단과 점검실명제·안전점검표가 담보하는 것이 아니다. 일정 부분에만 기여할 뿐에 그친다. 안전 경북도 만들기는, 상시적인 단속과 도민들의 안전의식에 달렸다. 안전점검은 마친 것이 아니다. 내일에도 지속적으로 단속해야한다. 단속하되, 도민들의 안전사회 만들기에도 행정력을 발휘해야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