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박수를 치기 위해서는 두 손바닥을 맞부딪쳐야 한다’는 말로써 둘이 힘을 합쳐야 무슨 일이든 해낼 수 있음을 뜻한다.
과거 경찰의 치안 활동은 경찰의 일방적인 범죄 예방 활동과 수사 등 주민들에게 단편적인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역여건·주민성향에 따라 지역별로 다른 치안수요가 발생하는 현대사회에서 과거와 같은 방식과 한정된 경찰의 인력으로는 다양한 치안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힘들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경찰은 ‘경찰이 시민이고 시민이 곧 경찰이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지역의 세부적인 사항까지 알고 있는 주민들과 함께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치안활동을 전개하는 공동체 치안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공동체 치안의 예로써 경찰의 112신고·5대 범죄 현황과 지자체의 인구·상가밀집도 등 지역종합정보를 통합·분석하여 범죄예방활동에 접목시킨 ‘빅데이터(big-data) 활용 스마트 예방치안’은 주민들의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의 학생·교수진으로 이루어진 ‘경북대 학생자치순찰대’ 및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자율방범대’와 관내 범죄취약지를 함께 순찰하는 민·경 합동순찰은 주민들과 경찰이 소통하며 공동체 치안의 중요성을 상기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
이렇듯 지역사정에 능통한 주민들과 관내 여러 가지 실무를 맡고 있는 유관기관·경찰이 힘을 합친 공동체 치안의 결과는 범죄·사고 감소와 체감 안전도 상승이라는 값진 결실로 이어져 우리 지역사회에 되돌아오고 있다.
길을 지나다 ‘이곳도 순찰을 좀 해주었으면’하고 마음속으로만 되뇌던 시대는 지나갔다. ‘내가 경찰이고 우리 지역주인이다’라는 적극적인 생각이 공동체 치안을 활성화 시켜 지금보다 더 안전한 지역사회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