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국력이다.
일자리는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보장한다. 이제 국력과 보장이 없는 시대로 돌입했다는 위기감에서, 인구증가와 일자리 창출에 모든 지자체가 행정력을 발휘해야한다. 이게 안 된다면, 인구시계가 그 자리에 멈춘다. 그다음엔 시계가 거꾸로 돌 수밖에 없다. 사회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서, 인구는 요동칠 게다.
우선 일자리부터 보면, 지난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1~10월 월평균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만6,800명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취업자 수가 평균 32만8,000명 증가한 것에 비하면, 1년 새 23만1,200명(-70%)이나 감소했다. 최근 3년(2015~2016년)간을 보면, 1~10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만~30만 명대를 기록했다. 올해 대폭 추락했다. 통계청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6만4,000명 증가했다. 4개월째 10만 명대를 밑이다. 고용률(61.2%)은 9개월 연속 하락세였다. 실업률은 3.5%로 10월 기준하여, 2005년(3.6%)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7년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30년 내에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4곳, 3,400여개 읍·면·동 중 1,383곳이 사라진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발표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인구변동의 인구학적 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통계청의 2016년 장래인구추계(중위 시나리오 기준)를 활용해, 2015년 5,101만5천명인 인구가 2115년 2,581만5천명까지 줄어든다는 전망치를 내놨다.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감소로 가고, 인구도 이와 정비례한다면, 그 대책의 수립이 아주 절실하다.
경북도는 지난 14일 도청 동락관에서 전우헌 경제부지사, 고병헌 경북도경영자총협회 회장,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시·군 및 유관기관 일자리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하여, ‘경상북도 일자리 포럼’을 가졌다. 이번 포럼 주제는 ‘지방소멸 대응 및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이었다. 1부에서는 경북일자리 청년포럼단 우수팀을 시상했다. 우수 제안서도 발표했다. 2부는 주제 발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됐다. 먼저 1부에서는 전우헌 경제부지사가 우수 청년포럼단 4개 팀에게 경상북도지사 상장과 부상을 수여했다. 경북 일자리 청년포럼단은 청년들의 시각에서 지역 일자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5월 경북지역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16개 팀이 일자리 제안서를 제출했다. 우수 4개 팀을 선정했다. 청년층에서 바라본 일자리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했다.
2부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승규 지역경제분석센터장이 ‘지방소멸 위기 적극 대응 및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이라는 주제로 지방 소멸지역의 특성을 인구 구조의 변화라는 지역적 문제와 결합해, 경북지역의 지방소멸 위기 해소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 지방소멸에 대한 문제점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의 성취를 위해선 지역 특화사업의 사전 파악과 직업훈련의 현실화로 일자리 연계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중앙?지방?기업?대학의 연대책임 강화 및 미래 일자리를 위한 일자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승규 지역경제분석센터장을 좌장으로 기화서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책임교수, 지역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유턴청년인 이소희 소담 대표, 대구경북연구원 석태문 선임연구위원 등 4명이 참여했다. 주제 발표를 하고, 지방소멸 위기 대처 방안을 위해 해결해야할 중?장기적 실천 과제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매년 7천여 명의 청년이 경북을 떠난다. 이는 결국 일자리문제라고 말했다.
지방소멸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인구증가와 일자리 창출은 결국 하나로 통합된 문제이다. 통합된 시각에서 포럼을 개최했다고 본다. 이제부턴 경북도가 겉치레 포럼이 되지 않기 위해선, ‘인구·일자리’를 현실에서 구현할 행정력을 발휘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