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현재나 미래나 먹을거리를 찾아 이합집산을 거듭한다. 먹을거리는 일자리와 동행한다. 일자리가 없는 곳엔 인구가 점차 감소로 갈 수밖에 없다. 일자리의 창출은 그 시대가 무엇을 바라는가에 따라, 일자리가 있기도 하고, 있던 일자리도 없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일자리의 창출은 미래지향적으로 어떤 시대가 될 것인가를 우선 알아야한다. 그 어느 지자체든 현재 일자리가 있다할망정, 미래로 눈을 돌려서, 일자리분야만은 미래로 짚어가면서, 현재를 살아야한다. 지금은 4차 혁명의 시대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때문에 미래의 먹을거리는 여기서 찾아야한다.
지난 5월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지원단장은 ‘4차 산업혁명이 바꾸는 우리의 미래’ 세미나에서 2030년까지 국내 지능정보 분야에서만, 약 8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혜택 주체가 사람이 되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창의적이고 비(非)전형적인 일자리 형태가 많아지는 고용구조의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관측했다. 역시 같은 달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1,000억 원 수준에 불과한 사업용 드론시장을 오는 2022년까지 1조4,000억 원 규모로 육성한다. 4만4,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웠다. 드론 산업은 혁신성장 8대 핵심 선도사업의 하나이다. 집중적인 예산·세제 지원에다 과감한 규제 및 제도개선으로 신산업과 신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지난 3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기술 분야 직업훈련에서 IoT, 빅 데이터, 스마트 제조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훈련비가 정부 전체 직업훈련 사업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내년 3.0%, 2022년 10% 수준으로 확대한다.
이렇게 정부의 국정방향이 정해졌다면, 어느 지자체든 미래지향적인 먹을거리를 위해선, 4차 산업혁명에서 정답을 찾아야한다. 경북도에 따르면, 미래 경북을 먹여 살릴 대형 프로제트 발굴을 위해 ‘미래 경북 메가 프로젝트 기획단’을 구성했다. 지난 14일 행정부지사 주재로 킥-오프 회의를 가졌다. 미래 경북 메가 프로젝트 기획단은 민선7기 「이철우호」의 출범과 함께 경북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갈 대형 프로젝트 개발이 필요하다는 현실 인식과 최근 경북도의 대형 프로젝트의 바로미터가 되는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이 지속적으로 감소에 따른 것이다.
감소의 위기의식과 국회에 제출된 2019년 국비 확보 현황에서도 R&D 분야, 문화, 환경 분야 등의 예산이 전년보다 많이 줄었다. 때문에 새로운 신규시책을 발굴하여, 2020년 국비 예산 확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업무의 중요성을 감안해 행정부지사를 단장, 기획조정실장이 부단장을 맡았다. 담당 과장을 반장으로 한 7개 반 30명으로 운영한다. 미래전략기획단장이 총괄반장을 맡고 신산업반, 농어업반, 문화관광반, 환동해 전략산업반, 산림산업반, 생활밀착형 SOC반 등 7개 반으로 반별 3~4명으로 구성했다.
주요업무는 대형프로젝트 사업 발굴 및 사업화, 국비확보 신규 사업 발굴, 정부 혁신성장 대응 등이다. 월 2회 정례회의와 수시회의를 통해 추진현안을 점검하고 협조사항을 논의한다. Kick-Off 회의를 주재한 윤종진 행정부지사는 경북도가 어렵다는 말로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앞으로 경북의 미래 먹을거리인 대형 프로젝트 사업이 눈에 뛰지 않는다는 데에 더 큰 문제가 있다. T/F팀을 구성한 이유도 이러한 현실인식에서 비롯된 만큼, 각 팀원들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업발굴에 매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같은 팀의 구성원들에게 경북도의 미래지향적인 먹을거리가 전적으로 달렸다. 여기서 미래란 것이 아무 중요하다. 설혹 경북도가 지금은 어렵다할망정, 미래엔 정부의 국정과 발을 맞춰야한다. 이는 전적으로 에 달려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선도 기업을 경북도에 산재한 산단에 유치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