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원 박열의사 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추모사 하고 있다.(문경시제공) |
박열의사 기념사업회가 지난 17일 문경 마성에 있는 박열의사기념관에서 ‘박열의사 서거 51주기 추모제’를 봉행했다.
추모제에는 김대식 문경 부시장, 황재용 시의원, 박영서·김경숙 도의원, 이홍균 경북북부보훈지청장과 유족, 보훈단체장,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추모제에는 박열의사 손자인 박현해(47세)씨도 참석했다.
박열의사는 1902년 문경 모전동(현시청뒤.음지마)에서 출생해 약관의 나이 청소년 시기에 일본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독립운동가 중 22년 2개월의 최장 옥살이를 하는 등 적지에서 일본제국주의에 맞서 싸운 행동하는 독립운동가며 사상가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다.
6·25 한국전쟁 시 북한으로 강제 납북되어 1974년 1월 17일 삶을 마감했으며 이후 1989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됐다.
추모행사의 식전행사로 박열의사 생전 애창곡이었던 ‘이별의 부산정거장’등을 문경문화원 하모니카 동아리에서 반주해 추모 분위기를 한층 더 일으켰다.
이어 박열의사의 약력 소개에 이어 국민의례, 기관 단체장 추도사 및 헌화와 분향,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박열의사의 모교인 함창초 학생대표가 참석해 선배의 애국정신을 본받고자 추모헌시를 낭독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서원 박열의사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올해 광복 80주년, 한일수교 60주년이 되는 해에 51주기 추모행사를 열고 박열의사 유족도 참석하는 등 여러모로 뜻깊었다. 박열의사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문경발전과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에너지로 승화시켜 나가겠다”고 추모사를 했다.
김대식 부시장은 "박열의사기념관에서 51주기 추모제를 봉행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하며, 다시 한번 민족의 자주독립과 정의로운 역사를 위해 희생한 박열 의사께 한없는 존경과 추모의 마음을 바친다" 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