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은 토지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것이다. 인간의 일상생활에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육우생산업·낙농업·양돈업·가금 생산업·특수 가축 생산업 등과 같은 생산 위주의 산업이다. 육가공업·유가공업·부산물 가공업 등과 같이 축산물의 가공과 이용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산업이다. 이들 산업을 지원하는 업무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사료생산업·동물약품업·축산시설업 등으로 구별한다. 산업기술의 개발로 축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한다.
이 모두에서 축산업의 명운은 악취에 달렸다. 또한 환경의 보존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냄새와 환경오염 등으로 축산업 기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많이 제기된다. 축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해 축사 시설 및 사육환경 개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축산 농가는 축산환경 개선보다는 생산성 향상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는 바람에 축산농가가 자발적으로 농장 환경을 개선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에게 쾌적한 거주 환경을 제공해 국민에게 사랑받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 기반을 구축할 목적으로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 사업을 2017년부터 추진해 왔다. 2020년 상반기 기준으로 전국에 3,102호의 농가가 깨끗한 축산농장으로 지정됐다.
경북도가 지역 축산업의 성장과 함께 환경보전, 악취저감 등 사회적 요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북도에서는 가축분뇨의 적정 처리와 쾌적한 축산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올해에도 총사업비 361억 원을 투자한다. 퇴비사 설치, 퇴·액비 살포비 등 가축분뇨의 퇴·액비화 및 축산악취 측정 ICT기계장비, 친환경 악취 저감제 등 축산 악취 저감을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가축분뇨 발생량 증가와 달리, 농경지 지속 감소로 토양과 하천의 부영양화 등 퇴·액비화 처리에 한계가 나타났다. 사육규모의 대형화에 따른 냄새로 지역 주민과 사회적 갈등과 환경 규제가 점차 심화됐다.
경북도는 친환경축산 모델 개발 등 5개 분야 12개 기본과제로 이뤄진 ‘경북도 축산환경 개선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기본계획을 기초로 축산 및 환경 관련 대학, 연구기관 등과 연계한다. 축종별 축산악취 특성 분석, 세부 실행과제 연구 등으로 정책을 추가 보완하여, 금년도 하반기까지 종합계획을 마련, 본격 추진한다. 축산환경 개선 기본대책의 5가지 분야는 친환경축산 표준 모델을 개발한다. 축산 악취 특성 조사 및 사업별 악취저감 성과 분석 등 가용 기술의 전략적 활용으로 ‘친환경 축산 표준 모델을 개발’ 한다. 환경 친화적 축산업 조성으로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을 확대한다. 축산시설 이미지 개선, 보조사업 지원체계 개편 등으로 ‘환경 친화적 축산업을 조성’한다. 가축분뇨 에너지화 등 다변화로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및 친환경 퇴비생산시설 현대화 등으로 ‘가축분뇨 처리방법을 다변화’한다. 축산악취 개선단지 지정과 민원 다발농가 악취저감 종합지원으로 ‘축산악취 민원의 능동적 해소’를 추진한다. 악취 저감시설 자동화 및 축산농가 책임의식 강화, 축산환경 관리 전담조직 신설 등 ‘축산악취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경북도는 지난해 12월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축산악취 개선사업에 의성, 상주, 안동, 경주 등 4개 시·군이 선정돼, 국비 22억 원(총 사업비 109억 원)을 추가 확보했다. 축산환경 개선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으로 축산환경 개선 종합대책 추진을 위한 과감한 재정 투자와 행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전남지역 1억 원 이상 고소득 농가 수는 5,500여 호였다. 여기서 ‘축산농가가 38%’를 차지했다.
경북도가 추진하는 축산업의 성공으로, 억대 축산농가가 지금보다 더욱 많이 나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