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을 하지 않던 때에는 물고기 등을 마구잡이로 잡는 바람에 나중에는 물고기가 고갈되어 버릴 위기에 처할 수가 있었다. 자연적으로 번식하는 물고기 수가 남획당하는 물고기 수를 따라가지 못해서 발생한다.
실제로 남획으로 어획량이 급감했다. 지속 가능한 어업을 지향하며, 물고기를 잡아 알을 낳게 한다. 그 알에서 태어난 치어를 성체로 키우는 형태의 어업이 장려됐다.
경북도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양식 산업에 접목한다.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스마트 수산기자재를 개발·보급한다. 수산물 스마트 유통·판매 지원, 스마트 수산인력 양성 등 일원화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에 도내 양식 산업의 재도약과 어지원을 강화한다.
경북도가 우선 추진하는 것은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이다. 2024년 말까지 포항시 장기면 일대 23만㎡부지에 총 400억 원을 투입한다. 지난해 국비를 확보했다. 금년 중 타당성조사와 설계를 완료, 착공을 목표한다. 클러스터에는 순환여과 시스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양식장, 가공 처리시설, 유통 및 판매시설이 들어선다. 연어 양식은 물론이고, 스마트 양식기술을 개발, 도내 양식업체에 보급한다.
경북도는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에 ‘스마트 수산기자재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양식장 건설에 필요한 각종 스마트 수산기자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스마트 양식 확대에 따라, 커지는 양식 기자재 시장을 선점한다. 특화단지를 통해 양식장 로봇 자동화 기술, 육상 양식시스템 개발, 스마트 수산기자재 표준화, IoT 무선통신 제어 등 차세대 양식 시스템 관련 R&D와 기술이전이 활성화될 것이다. 경북도는 ‘수산물 유통·판매의 스마트화’도 적극 지원한다. 안테나숍, 홈쇼핑 판매, 온라인 판매 등으로 수산물 판매 금액을 작년 13억 원에서 올해 22억 원까지 높인다.
이를 위해, 수산물 이력제 전산화 시스템을 마련한다. 온라인 판매를 위한 영상촬영 지원 및 비대면 판매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지속이용 가능한 판로를 제공한다. ‘스마트 수산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 협력 기반도 강화한다. 고교 수준에서는 해양수산 특성화고 지원을 확대한다. 포항해양과학고는 스마트양식과, 스마트운항과로 학과를 개편한다. 2023년 3월 ‘지능형 해양수산 분야 마이스터고’로 개교한다.
경북도는 스마트 아쿠아팜 신축 등 스마트양식 실습환경을 구축한다. 또한, 도내 양식업체와 연계해 양식기술, 종묘생산, 질병관리, 양식설비 및 기자재 개발 등 스마트양식 관련 맞춤형 실무교육 운영도 지원한다. 대학 수준에서는 포스텍 씨그랜트센터 등 교수 연구실 단위의 협력을 시작한다. 아직 도내 대학에 해양수산학부가 없는 만큼, 스마트 수산양식에 관심 있는 교수팀과의 개별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렇다. 장기적으로 ‘경상북도 스마트 해양수산 인력 양성 지원 조례(안)’ 제정으로 경북도내 대학에 해양수산학부 신설도 검토한다.
경북도의 수산 스마트화는 ‘2021년 해양수산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해양수산 디지털 전환 및 혁신산업성장 촉진, 수산·어촌의 활력회복과 연안경제권의 균형발전, 해양수산 탄소중립 및 플라스틱 제로화 등이 핵심추진과제로 발표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선도형 해양수산업 실현에 선제대응하기 위함이다.
송경창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수산양식 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ICT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양식 시스템 적용이 중요하다. 수산양식 산업의 스마트화를 통해 부자 어촌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눈에 띄는 대목은 경북도내 대학에 해양수산학부 신설이다. 미래를 위한 교육 투자이다. 이번에 추진하는 것으로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