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말에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공고되었다. 2017년 말에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공고되고 3년만이다. 여기에는 추후 15년 동안의 전력 수급전망 및 설비계획, 관련 시장 및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이 담겨있는데, 전체적인 흐름은 지난 8차 수급계획 및 그에 앞서 개정된 전기사업법에 반영된 환경성 및 안전성 부분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 중 전력 공급 및 그에 따른 설비 계획의 근간이 되는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는 그 비율이 높지는 않지만 여전히 증가 중이다. 이는 미국, 일본 및 유럽 주요 선진국에서 전력소비량이 2010년 이후 대부분 정체 또는 감소 추세로 전환된 것이나, 중국 및 인도 등 산업화 여력이 남아 있는 국가에서 전력소비량이 여전히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는 것과는 차별적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 중심으로의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전력소비량이 높은 비율로 급증하고, 탈공업화 이후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지면서 산업구조가 고도화된 선진국에서는 전력소비량이 정체 및 감소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추이는 역사적으로 2차 산업과 3차 산업이라는 과정을 거친 국가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나온 결론이다.
문제는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 될 때에 어떠한 방향과 속도로 수요가 변화할 것인가이다. 한 나라 안에서 2차 및 3차 산업혁명이 진행될 때의 전력소비량 패턴이 차별적이었던 것만큼, 앞으로 확산될 4차 산업혁명 역시 전력수요 전망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제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전력수요의 변동 요인 중 하나로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검토했으나, 태동기에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 비추어 볼 때에 예측의 불확실성이 커서 차기 계획에 4차 산업혁명의 효과를 중점 검토한다고 남겨둔 바 있다.
이번 제9차 전력수급계획에는 지난번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스마트홈의 확산에 따른 전력소비량 증감 효과가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 해당 설비나 제품, 서비스의 확산 대비 효율 향상에 따른 전력소비 증감 효과가 나와 있는데,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홈의 경우, 전력소비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되어 있다.
하지만, 스마트공장의 경우 감소될 것이라고 예측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지원 방향을 볼 때에 좀 납득하기 어려워 보인다. 스마트공장은 단순히 공정만 바꾸어 효율을 향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품의 기획부터 판매까지의 모든 생산과정에 ICT 기술을 적용 및 활용하는 것을 추구하는데, 그 결과 전체적인 전력소비는 기존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을 따르는 기존 노동요소를 인공지능과 로봇 등의 자본요소로 완전 대체한 자동화 공장을 상상해 보면, 높은 효율성을 바탕으로 24시간 내내 전기를 투입하여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아쉽게도 제9차 전력수급계획 역시 4차 산업혁명의 확산으로 인한 전력사용 패턴의 예측이 쉽지 않고 구체적으로 수치화하여 반영하기 어렵다고 보고 차기 수급계획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남겨 두었다. 아무쪼록 다음 제10차 전력수급계획이 수립될 때에는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확산이 전력수요에 미치는 효과가 계량화 및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