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칼럼

고향의 봄 도청신도시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12.23 18:43 수정 2018.12.23 18:43

김 휘 태
안동시 공무원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그 고향에 경북도청이 이전되고 꿈같은 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다. 낙동강에 은어향기 그윽하고 도랑가에 버들피리 꺾어 불고 들판에 워낭소리 맴돌던 그 고향에 웅도경북의 깃발이 드높이 펄럭이고 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원주민들은 떠나가고 원도심은 비어가고 있다는 걱정이 늘어나고 있다. 시작이 반이라고 벌써 1단계 개발이 끝나고 2단계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조용히 뒤돌아본다.
경북도청을 이전하게 된 이유는 대구ㆍ경북이 분리되었기 때문이고, 북부지역으로 이전하게 된 이유는 균형발전이 가장 큰 대의명분이었다고 생각한다. 남부지역의 공업경제 부흥에 북부지역의 농업경제가 너무 열악하고,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경북도청을 북부로 이전하고, 그 추동력의 기반이 될 신도시를 조성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다시 말하면 도청신도시의 정체성은 인구 10만의 자립도시를 넘어서, 경북지역의 균형발전을 이루는 효과를 먼저 거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1단계사업에서 신도시 인구유입과 신도시인프라 구축이 다소 미흡하더라도, 북부지역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계발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도청신도시를 조성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당초에 예상되었던 안동, 예천의 원도심 공동화현상이나 행정구역개편 등 초기에 나타나고 있는 부작용들을 합리적으로 보완해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외지에서 인구유입이 되도록 신도시 산업구조를 먼저 갖추어나가고, 인접시군에서는 굳이 신도시로 전입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고 편리한 교통망을 구축하여 원도심과 신도시가 상생발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도시 정주여건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우선적으로 안동, 예천 원도심의 인구나 상권이 신도시로 흡수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인근 시군 간에 20~30분 내에 왕래가 가능한데 신도시 내에서 모든 정주여건을 갖추어야한다고 가정하면, 주변지역은 일단 흡수당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물론 신도시에 외지인구가 충분하게 들어온다면 나아지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풍선효과에 그쳐서, 결국은 원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웅도경북 신도시의 꿈은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걱정된다.
현대 50년간 모든 도시계획이나 상ㆍ하수도 같은 시설용량을 평균 인구증가 기준으로 늘려오다가, 최근에는 인구증가 둔화로 수요관리 개념으로 바뀌어서 기존의 용량이나 기준보다도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감안해보면, 신도시라고 무조건 인구가 늘어나고 신규시설이라고 무조건 용량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 1인당 하루 수돗물 급수 량을 400리터 정도로 늘렸다가 요즘은 300리터 정도 실수요 량으로 줄이는 것이다.
거기다 갈수록 늘어나는 천재지변이나 안전사고 예방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도 양보다 질을 높이는 계획이나 설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20c의 과잉공급시대가 지나고 21c의 저성장시대가 도래한 시대적 상황도 고려하여, 인구정책이나 시설용량도 짜임새 있고 실속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대적 키워드 중 하나가 ‘가성비가 높아야 하고, 가심비도 높여야 한다.’는 것 등으로 많은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그러므로 도청신도시 개념을 자립ㆍ자족도시를 넘어서 북부지역 균형발전을 위하여 인근시군의 신ㆍ구도심 상생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포용력 있게 추진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그러자면 가장 시급한 것이 학교, 병원, 출퇴근, 시장을 위한 편리하고 신속한 교통망이다. 20~30분 거리에 기존의 정주여건들이 만족스럽지는 못해도 우선 이용할 만한 정도는 된다고 생각한다. 신도시 내의 정주여건 범위를 인접시군까지 확대하여, 원도심을 살리면서 웅도경북을 재현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신도시 조성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그 속에서 살던 때가 그립습니다.’ 보다가, ‘신도시의 고향땅이 더 좋습니다.’ 라고 노래 부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