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논란을 빚고 있는 대구취수원 문제에 대해 무소속 정태옥 의원(대구 북구갑·사진)이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폐수 처리와 방류로 생긴 것이기 때문에 국가가 책임지고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인 정 의원은 10일 국무조정실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구 시민의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의 근본 원인은 구미 국가산단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화학물질 유출사고와 낙동강에 유입되는 확인 불가능한 화학물질에 있다”고 지적했다.
정태옥 의원에 따르면 대구시가 수돗물 수질에 대해 전국 최다 수준인 278개 항목을 검사하고 있지만, 구미산단에서 낙동강에 유입되는 화학물질은 1천600여종에 이른다.
이어 정 의원은 “수돗물에 대해 매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대구시도 환경부가 발표하고서야 과불화화합물의 존재를 알았다”며 “대구 시민들은 상수원 속의 ‘알 수 없는 화학물질’이 언제 다시 터질지 모를 불안감을 갖고 있다”고 했다.
미규제 유해물질인 과불화화합물은 올해 5월 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매곡·문산정수장 2곳과 정수된 수돗물에서 처음 검출됐다.
또 정 의원은 최근 대구취수원 이전 대신 대안으로 떠오른 무방류시스템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는 또 “2014년 국토부의 용역연구로 대구 취수원 이전의 합리성이 검증됐는데, 환경부와 구미시가 이를 무시하고 검증되지도 않은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을 주장한다”며 “10년간 250만 시민의 생명을 담보로 잡고 검증되지 않은 시스템을 실험하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014년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사업 검토 용역을 통해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해도 낙동강의 유지수량과 수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추가 규제도 없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
특히 아직까지 기술력이 검증되지 않은 무방류 시스템은 사업 추진에만 최소 4~5년이 걸리고, 결과 점검과 효과 입증 기간을 포함하면 10년 가량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또한 정 의원은 “대구의 먹는 물 문제는 국가가 지정한 국가산단에서 비롯된 만큼 정부가 단순히 중재만 할 것이 아니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황보문옥 기자 hmo491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