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지방소멸시대 청년유입지원단구성 1만 명 유치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10.10 18:46 수정 2018.10.10 18:46

우리의 급속한 산업화와 근대화의 과정에선 청년층은 도시로만 모여들었다. 이젠 그때의 산업화 과정이 끝나자, 청년들은 일자리 절벽을 넘기 위해, 어느 지역이든 취업을 위해, 떠나고 있다.
일자리가 없는 도시는 청년도 없는, ‘도시 절벽’의 시대를 맞고 있다. 각 지자체마다 청년을 다시 부르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는 요즘이다. 경북도도 청년을 부르기 위한 정책을 실시한다. 경북도는 다양한 청년유입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청년유입지원단’을 구성?운영한다.
경북도는 지방소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정책을 외지 청년 유입과 지역청년 안착을 위한, 투-트랙 전략을 추진한다. 지원단 운영으로 지금까지 기관 간, 부서별로 진행하던 핵심 청년유입 사업을 총괄할 협력적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청년 정주지원을 효과적으로 추진한다. 경북도의 추진단장은 경제부지사가 맡았다. 일자리경제산업실장은 부단장이다. 사업 분야별 4개 팀-4실무추진단엔 외부 전문가를 포함해, 총 34명으로 구성했다.
4개 팀별 역할에서 청년유입총괄팀은 지원단 총괄, 청년 네트워크 구축, 청년 활동?정착 지원, 대외협력 업무를 책임진다. 청년농부지원팀은 청년농부·창농지원, 농지농가 뱅크제를 관리한다. 이웃사촌시범마을팀은 시범마을 정주프로그램 개발·정주인력 양성을 통한 청년 중심도시를 육성한다. 청년정주지원팀은 청년 선호 주거단지 조성과 청년활동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지원단은 청년유입의 효율적인 성과를 위해 청년정책 의견 수렴 목적으로 설립한 ‘경북도청년정책위원회’와 ‘좋은일자리만들기위원회’를 자문단의 역할을 담당한다. 청년유입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적 지원과 신규 사업 발굴 등 정책연구는 대구경북연구원 소속 ‘청년정책연구센터’가 지원한다. 경북도경제진흥원 소속 ‘도시청년시골파견지원센터’는 청년유입 정책 추진을 현장에서 돕는다.
또한, 서울시 등 수도권과 지방간 협력 사업을 위해 청년유입 유형별 정착 매뉴얼을 개발한다.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 플랫폼도 구축한다. 경북도는 이 같은 정책으로 2022년까지 1천명, 향후 10년간 1만 명의 청년을 유입한다는 계획을 짰다.
이철우 도지사는 청년유입지원단은 다양한 청년유입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매개체 역할을 할 것이다. 경북도를 지방소멸 위기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꿈을 펼칠 수 있는 살고 싶은 지역으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청년이 없는 도시나 농촌은 미래가 없는 지역과 마찬가지이다. 청년을 부르는 유일한 수단은 경북도에 일자리를 보다 많이 만드는 것이다. 지난 10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 분석에 따르면, 올해 1∼8월 30대와 40대 평균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만2천 명 감소한 1천227만1천 명이었다. 30대 취업자는 4만4천 명, 40대 취업자는 10만8천 명 각각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1∼8월 30·40대 취업자 수는 한국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을 받던 2009년 24만7천 명 감소한 후, 최근 9년 사이에는 올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1∼8월 30·40대 취업자 수는 2014년에는 전년보다 12만3천 명 늘었으나 2015년에 8만 명 줄었다. 이후 2016년에 10만 명, 2017년에 8만3천 명 감소했다. 올해까지 4년 연속 축소했다. 산업 현장의 버팀목 역할을 할 30·40대 취업자 수가 올해 들어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일자리 감소를 뜻하는 위의 통계치를 다른 시각으로 본다면, 일자리가 없다는 것에서,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떠난다는 뜻이다. 이 같은 해석에서 경북도 청년유입의 핵심을 엿볼 수가 있다. 경북도는 일자리 창출과 위의 정책을 보다 적극적인 행정으로 접목할 방도를 찾아내, 현실에서 구현해야한다. 이때부터 미래의 희망인 청년들은 경북도로 온다. 일자리와 청년유입은 다 같기 때문에 그렇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