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은 자연 재해이다. 인력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는 측면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일단 지진이 발생하면, 재난 통보가 전 시민들에게 제때에 스마트폰 문자 등, 그 어떤 형태로든 알려줘야 한다. 지진의 진앙도 보다 정확하게 알려줘야 한다. 뿐더러 대피를 어디로 해야 하는지도, 시민들은 알아야한다. 지진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시민들에게도 제때에 치유할 수가 있도록, 지진행정은 보다 빠른 속도로 움직이게 해야 한다. 지진이 터졌다고 하면, 지진 관련 행정당국부터 우왕좌왕한다면, 도대체 시민들은 더욱 지진으로 당황하게 된다.
포항시가 지진이 나자, 거의 행정력의 마비가 되는 감도 지울 수가 없는 부분도 있었다. 27일 현재, 포항의 여진은 총 99회 발생했다. 2.0~3.0 미만 91회, 3.0~4.0 미만 6회, 4.0~5.0 미만 2회 등이다. 지난 16일 오후 6시2분께 포항시 북구 북북서쪽 7㎞ 지역에서 규모 2.7의 지진이다. 진앙은 북위 36.1도, 동경 129.35도다. 지진 발생 깊이는 21㎞다. 현재 포항시는 또다시 여진이든 본진이든, 그 대처에서 오락가락의 행정을 한다는 누명을 쓰고 있는 판이다.
포항시는 이제야, 지진대책을 수립하여, 우왕좌왕의 지진행정을 벗어나는 지진 대처의 선진 지역이 되었다. 포항시는 지진에 대해 선제적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철저히 대비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지진에 강한 안전 도시를 만들기 위해, ‘365 선제적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11?15 지진에 대한 피해를 수습하면서도, 또다시 강한 여진이나 새로운 지진이 올 수도 있다는 일부 전문가의 견해에 따른 대책이다. 지난 지진 대응과정의 미비 점을 보완했다.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선제적 지진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항시는 이번 종합대책을 기반으로 현장중심의 지진대응능력을 고도화시켰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4대 플랜(예측·예방, 사전대비, 지진발생 시 대응, 조사·복구)을 마련하여, 강력히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지진관련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세미나와 포럼을 개최한다. 일본 고베시 등 선진방재도시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지진 전문가와 방재직 채용을 확대한다. 주민 방재지도자 육성, 지진감지 센서와 방사선 감지기를 추가로 설치한다. 기상청 및 교육청과 조기경보 협약 등을 통해 지진 예측·예방 기능을 강화한다. 시민들에게 필요한 지진관련 조례 제·개정, 지진방재주간 운영, 맞춤형 순회 교육·훈련, 안전장구(안전모·생존가방)를 보급 확대한다. 풍수해보험 가입률 향상, 건축물 내진보강사업, 국립방재공원과 다목적 대피소 건설을 통해 도시 전체의 지진대비 능력도 최고 수준으로 끌어 올린다.
새로운 지진이나 강한 여진이 발생할 경우를 가상하여, 재난방송 송출협약, SNS 상황전파단 운영, 주민소통 현장채널을 개설한다. 이재민 관리 전자인증 시스템도 도입한다. 유관기관 통합 지진대책본부와 현장 시민지원본부 구성, 단계별 선제적 대응 매뉴얼 등으로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정착한다. 향후 지열발전소 공동연구단을 구성하여, 철저하게 원인을 규명한다. 건축물 내진보강 국비지원, 피해보상 현실화를 위한 특별법 제정,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확대, 이재민 장기 주거대책 마련 등을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강력히 건의한다. 지난 2월 22일부터 4급 허성두 국장을 필두로 3과 8팀 27명으로 구성된, 지진대비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명칭을 ‘지진대책국’으로 바꾸고, 선제적 지진방재 대책 추진, 교육·훈련, 방재 인프라 구축, 트라우마 치유, 피해지역 도시재생, 이재민 장기 주거지원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당연한 책무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포항시가 수립한 대책에서, 방재할 때에, 실명제를 도입할 것을 주문한다.
포항 지진이 포항시가 지진대응의 선진 도시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