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군위 군민이 군부대 이전지 확정을 기뻐하고 있다.<군위군제공> |
|
대구시가 지난 4일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에 따라 ‘군위군’을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로 최종 선정했다.
대구 군부대 이전지는 1단계로 국방부가 ‘임무수행가능성’과 ‘정주환경’평가를 거쳐 예비후보지를 선정하고, 2단계로 대구시가 ‘사업성’과 ‘수용성’ 평가를 거쳐 최종 이전지를 선정했다.
지난 1월 21일 국방부가 예비후보지 3개소를 선정해 대구시로 통보함에 따라, 대구시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절차 진행을 위해 전문 연구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에 평가를 위탁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지난 4일 ‘평가계획 사전 설명회’를 개최해 후보 지자체에 평가 매뉴얼과 후보지 신청요강에 대해 설명하고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으며, 이후 후보 지자체로부터 평가자료를 접수받아 검증을 실시하는 등 객관적이고 투명한 평가절차를 진행했다.
최종 이전지 선정을 위한 평가는 도시개발, 사업타당성, 국방군사시설 분야의 관계 전문가로 구성된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위원장:김동영)’에서 후보 지자체별 발표 및 질의응답, 평가자료 최종 검토 등을 거쳐 진행했다.
평가위원회에서는 군위군이 사업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민원 및 갈등 해소를 위한 실질적 노력이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밀리터리 타운과 훈련장 주민동의율이 객관적으로 매우 높을 뿐 아니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지자체의 다양한 노력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했다.
평가 위원장을 맡은 김동영 교수는 “평가위원들 공통된 의견은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각 지자체별 후보지가 큰 차이를 드러냈다”며, “특히 일부 지자체의 경우 훈련장 수용지역에 대한 주민동의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군부대 이전이 불가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구시는 주민에게 환영받는 민군 상생의 군부대 이전사업을 추진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은 군위군으로 최종 이전지를 선정했다.
앞으로 대구시는 선정된 군위군 이전지역에 군사시설 계획을 구체화하는 등 내년 상반기 합의각서 체결을 목표로 사업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국방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이전지역에 조성될 미래 통합 군 주둔지 개념을 구체화하는 ‘마스터플랜’과 ‘시설기본계획’을 작성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중으로 합의각서(안)을 마련해 국방부로 제출하면 국방부 검토와 기재부 심의 및 승인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는 합의각서를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합의각서가 체결된 후에는 설계와 시공 과정을 거쳐 당초 목표한 대로 2030년까지 이전사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장병익 추진위원장은 "군부대 이전지가 군으로 결정된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 군민이 하나 돼 이룬 성과라 더욱 뜻깊고, 앞으로 지역이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기쁨을 표했다.
김진열 군수는 "오늘의 기쁨은 군민의 적극적 참여와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군민 희생과 노력에 보답하기 위해 최상의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지역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2022년 10월 이후 군부대 이전지 유치를 위해 열정적 노력과 관심을 보여준 각 지자체 관계자들과 시민·군민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군부대 이전지가 최종 결정 됐으므로 대구 미래 100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민군 상생의 군부대 이전사업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보문옥·장재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