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포스코그룹의 중심 기업이다. 1968년 설립된 포항종합제철(주)이 모태다. 조강 연산 910만 톤 규모로 성장했다. 1988년 6월 기업을 공개하여, 국민주 1호가 됐다. 이 같은 급속성장은 포항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사랑을 값도 치르지 않고 먹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협조와 사랑은 포항의 청정한 바다의 오염에도 포항시민들은 침묵했다. 산재로 근로자가 죽어도 눈물을 머금고 참았다. 침묵의 살인자인 비산먼지를 토해 내도 참았다.
지난 4월 대구고용노동청에 따르면,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사고로 3명’이 숨졌다. 지난해 12월 9일 3소결공장에서 하청업체 직원 1명이 집진기 보강공사를 하던 중 ‘부식된 배관 파손’으로 추락해 사망했다. 또 같은 달 23일 하청업체 노동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출근’하다가, 25t 덤프트럭과 충돌해 숨졌다.
올 2월 8일에는 원료부두에서 크레인을 정비하던 직원이 ‘설비에 몸이 끼여’ 숨졌다. 지난 3월 포스코 최정우 2기 출범 나흘 만에 ‘50대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연임에 성공했으나, 산재사망은 막지 못한 현장이다. 포스코는 산재 다발지역이 아닌가 한다.
노동부는 포스코의 안전사고와 관련해 공장 전반을 살펴, 사고 위험 요소를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특별감독이 시작된 지 한 달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최정우 회장 ‘2기 출범’도 이번 ‘사고로 직격탄’을 맞았다. 앞서 최정우 회장 1기 출범 이후 연이어 사망사고가 터지자, 정치권과 사회단체 등은 ‘연임을 반대’했다. 민주노총 소속 전국금속노조 포항지부에 따르면, 최정우 회장 ‘출범 후 노동자 16명이 사망’했다.
이 같은 대기업이 걸핏하면, 윤리경영을 깃발처럼 흔들어댄다. 알고 보니, 깃발은 포항시민을 농락했다. 농락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서울로 이사채비를 한다. 반 백년이 넘도록 경북도민·포항시민과 함께 해온, 포스코가 지주회사인 포스코 홀딩스의 서울 설립을 앞두고, 지역의 우려와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는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7일 포스코 지주회사를 수도권에 두려는 것은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한다. 집중화된 수도권으로 이전은 10년 내에 후회 할 일이다. 미래 방향이 아닌, 과거로 회귀다. 경북도민의 희생 위에서 대한민국 경제발전 원동력이 된 포스코가 이전한다는 것은 경북도민에 대한 배신이다. 배신이라도 낯 두꺼운, 우롱적인, 남모르게 ‘윤리경영으로 포장’한, 배신이다.
이강덕 포항 시장은 포스코 지주회사 본사의 서울 설치 및 미래기술연구원의 수도권 설치를 반대하는 사안에 대해 경북도와 시·군이 공동 대응하며, 힘을 모아줄 것을 요청했다. 아마도 포항시장은 누구보다, 청정한 포항하늘을 다버려놓고, 이사한다니, 속 터지고, 기가 막히는 윤리경영의 깃발에 배신감을 느낄 것이다.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임시 주주총회서 포스코 지주사 전환과 관련한 물적 분할 안건을 가결했다. 포스코는 지주회사가 되는 포스코 홀딩스의 본사를 서울로 이전하기로 확정했다. 경북도와 포항시, 도의회, 포항시의회, 시민단체는 ‘지역의 희생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지역민과 소통이 없었다며,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유감 정도로 되겠는가. 지역 정치권과 경제 단체 및 시민단체 또한 한마음으로 지역과의 상생을 위해 포스코 홀딩스 본사와 미래기술연구원 포항 설치를 지지했다.
그들은 산재사고로 근로자자 죽을 때마다, 온갖 철강덩어리인 비산먼지를 내뽑을 때마다, 청정한 바다였던 곳에 바다고기가 살수가 없도록 버려져도, 되레 포항시민들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제 이사 간다니, ‘이 모든 것을 다 들고 가야만,’ 윤리적인 이사다. 그렇지 못하다면, 그때까지 이사를 보류해야만 마땅한 대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이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것들은 다 들고 이사를 못한다면, 모든 행정력을 다 동원하여, 혼쭐이 나도록 환경오염을 감시·감독할 것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