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원칙을 망각한 언론'이 판쳐서야 되겠는가.
나라가 혼란할수록 사회 공익기관으로서 공정보도가 생명인 언론의 역할은 막중하다.
기사를 생산해 내려면 천 번이고 만 번이고 확인해야 한다. 낙종을 하는 일이 있어도 남의 귀중한 인격과 집단의 명예를 살인하는 몰지각한 행동을 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소가 들어도 웃을 확인되지 않는 내용을 사실인 것처럼 멋대로 기사화 해 조롱거리가 된 사례도 적지 않다. 의혹을 제기하는 입장에서는 아니면 말고 식으로 넘어갈 수 있을지 몰라도 당하는 입장에서는 모든 명예가 달린 문제여서 뼈아픈 상처로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가 불행을 맞게 된 경우도 종종 있었다.
즉 언론이란 가면을 쓰고 자신의 허물은 감추면서 자나 깨나 사익추구와 남의 약점만 쫒아 다니는 것은 물론, 정론직필을 위해 노력하지 않고 남의 탓만 하는 언론의 결과는 파멸의 길로 갈 수밖에 없음이다. 언론을 사익을 채우는 도구로 활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는 지역 언론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힘을 합쳐 권력과 싸워 사회정의 구현에 앞장서도 시간이 부족할 판에, 같은 언론을 향해 시기와 질투로 자중지란의 모습을 보여 언론의 신뢰를 추락시킨 실례도 더러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보더라도 시샘과 질투와 시기로 상대를 음해하고 가짜 뉴스를 생산해 내는 데 에너지를
솓아 붓는 언론이 있다면 이는 본질을 벗어난 행동으로 참 언론으로 볼 수 없다. 때문에 언론 스스로가 취재 윤리와 저널리즘의 원칙을 지키지 못해 비난을 자초하는 과오는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언론이 박해를 받는다면 이 또한 아픈일이 아닐 수 없다. 현재도 지구상의 수많은 언론인들이 취재 활동 중 귀중한 생명을 잃고 있다. 이런 참 언론인들을 욕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언론이 바로서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언론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지난 날 한국 언론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 볼 필요도 있다. 권력 앞에서 온갖 수난을 겪었기에 하는 말이다. 그 예로 제5공화국의 모태인 국보위 시절을 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 각 지역에서 손가락질 받는 언론인들을 솎아내 삼청교육장으로 보낸 과거사가 아직도 기억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있다.
당시 정권이 바뀌면서 언론은 사정기관으로부터 고통스런 검증을 받았다. 1도1사의 지침에 따라 언론사가 통폐합되기도 했다. 자고나면 해고 될 정도로 많은 기자들이 쫒겨 났지만 항변할 곳도 없었다. 신문제작마저 막대한 차질을 빚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즈음 취재 윤리와 저널리즘의 원칙을 외면한 일부 언론은 국보위가 정한 잣대에 따라 준엄한 심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국보위의 이 같은 잣대는 훗날 정당한 방법이 아니었다는 일부 비판을 r감수해야 했다.
세월이 흘러 시대가 많이 달라졌다. 이제 권력이 강압으로 언론을 길들이는 시대가 지난지 오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금 이나라 검찰이 사건과 관련이 있다는 빌미로 몰래 언론인의 통신조회를 무차별적으로 벌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구시대적 공권력 남용이란 오명을 낳게 했다.
국보위 시절을 연상케 하는 대목이다.
아직도 이 나라 언론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해 허약하게 보여서 그랬을까?
이를 보듯 언론 스스로가 지켜야 할 권리와 의무를 감당해야 하는 사명감은 그 어느 때 보다도 크게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들어 유투브 등 일부 언론 매체가 대선 판을 취재하고 보도하면서 언론이 지녀야 할 정론직필의 공정한 정의와 사명을 저버린 데서 출발하고 있다. 국민들의 판단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대목이다.
이처럼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이 나라 최고 정치 지도자를 뽑는 대사를 앞두고 저널리즘의 원칙을 망각한 언론이 판쳐서야 되겠는가.... 지역 정가와 국민들이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