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승용차에서 각종 화물차를 말한다. 이 자동차는 지금까진 내연기관 차만 있었으나, 이런 차 등은 각종 화학물질을 내뽑기에, 공기를 탁하게 하여,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이제부턴 이런 것의 해결책으로, 미래 시대가 이미 왔다. 미래차는 이름 그대로 미래의 먹을거리로 각광받는다.
2021년 대구 자동차산업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이 전기·수소·자율 주행차 등 이른바 미래차 위주로 빠르게 변한다. 하지만 국내 규제환경이 산업 변화를 가로막는다. 성공적인 미래차 전환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제5차 미래산업포럼’에서다.
지난해 2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대구에 등록된 수소차는 모두 66대였다.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꼴찌였다. 6위 인천(488대)과의 차이는 7배 이상으로 벌어졌다. 울산(1819대), 서울(1671대)과의 격차는 비교할 수 없다. 이처럼 대구에 수소차 보급이 저조한 이유는 타 시·도에 비해, 수소차 인프라 보급이 늦었기 때문이다.
2021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2021 ‘전력기반차 e-DS(e-드라이브시스템) 핵심부품산업 육성사업’에 따르면, 대구시가 국비 160억 원을 확보했다.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미래차 분야로 전환할 수 있게 촉진하기 위해서다.
지난 5일 대구시가 산업통상자원부와 DGIST(컨벤션홀)에서 지역 자동차 기업의 도약을 선언하는, ‘미래차 전환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번 선포식은 지자체, 중앙정부, 기업, 지원기관 등의 역량을 결집해, 당면한 미래차 전환의 도전을 헤쳐 나가고자 마련됐다.
권영진 대구 시장, 장상수 대구시의장, 박재영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 김상태 평화발레오 회장, 홍원화 경북대 총장, 정양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권홍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구지역본부장, 권대수 대구테크노파크 원장 등 기관·기업 대표 30여 명이 참석했다. 현장의 목소리 청취(영상), 추진 계획 보고(대구시), 미래차 전환 협의체 서명식, 비전 선포의 순서로 진행됐다. 온라인상으로는 고아정공, 구영테크, 성림첨단산업, 대영채비, 차지인, 스프링클라우드, 드림에이스 등 30여 개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대구시는 산업부와 긴밀한 협력으로 2030년까지 미래차 전환 200개사 지원, 30개 강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미래 모빌리티 부품 집중 육성은 미래 모빌리티 新생태계 확대 등의 전략이었다. ‘미래차 전환’은 기술개발부터 사업화, 판로개척, 금융, 인력 양성 등의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별 기관이나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주체들의 연대·협력이 중요하다. 대구시는 중앙정부, 대학, 이전 공공기관, 지원기관, 기업 등 28개 기관·기업이 협업하는 전환 협의체를 출범해, 상생협력을 다짐하는 협약식을 가졌다.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을 거점으로 미래차 전환 지원을 총괄하는,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센터’를 발족했다.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센터는 협의체 운영을 총괄한다. 지역의 다양한 정책수단 연계로 컨설팅에서부터 기술개발, 사업화, 판로개척, 금융, 인력양성 등에 이르는 미래차 전주기 지원을 담당한다. 기업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12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는 기업협의체도 별도로 구성·운영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대구가 그 뜨거운 심장이 될 수 있도록 정부도 함께 힘을 모으겠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미래차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대구시가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대구시가 미래차 선포식으로만, 대구시가 미래차의 뜨거운 심장이 될 수가 없다. 속도도 낼 수가 없다. 고급인력의 양성, 미래차 인프라구축, 각종 규제 철폐, 정부의 지원 등이 뒷받침해야 한다. 대구시는 우선 이 숙제부터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