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폐막된 COP26(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의 성과는 크게 두개다. 하나는 미-중 기후 협력을 재확인하고, 감축목표를 1.5도 이하로 재확인 한 것이다.
이것은 기후정책이 후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유럽배출권 가격은 당일 5% 가까이 급등했다.
이렇게 정책목표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아주 고무적이다. 물론 각국이 내놓은 대응방안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내년까지 감축목표상한 시기를 늦춘다는 타이틀로 기후정책이 마치 후퇴한 것처럼 기사를 쓰는 분도 계시지만 이는 기후협상 과정을 겉으로는 이해했지만, 속으로는 이해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탄소중립정책에서 가장 두려운 것은 감축목표가 사라지는 것이다. 즉 감축목표가 살아있는 한 시장은 존재하게 되고, 시장이 존재하면 감축기술에 대한 유인이 가능하다.
감축기술은 시장진입을 위해 상용화를 촉진하게 되고 상용화를 위한 노력은 새로운 산업군을 거느리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신산업은 제대로 먹이사슬을 갖추기까지 시장인센티브를 활용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곧 시장이고 금융이다.
덕분에 기술에 대한 발검음이 빨라졌다. 바로 IEA가 지적한 CCUS기술(이산화탄소를 배출단계에서 포집, 저장, 활용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IEA는 “2070년 전 세계가 탄소 중립에 이르는 과정에서 CCUS 기술 기여도를 총 감축량의 15% 수준인 연간 100억t으로 제시”하면서, 이와 함께 “CCUS 기술 없이 인류가 추진하는 기후 변화 대응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즉 기후위기가 탄소를 활용할 기회를 만들어 준 셈이다. CCUS는 확장성이 우수하다. 확장성은 다양한 밸류체인이 있기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CCUS는 다분히 감축기술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신산업을 창출한다는 차원에서 전지구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지원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소모성 지원이 아니다. 민간이 긍정의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지원을 말한다.
요즘 ESG금융, 탄소금융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ESG금융의 지원범위를 좁게 설정할수록 혜택의 범위도 줄지만, 금융지원을 해외에서 받게되는 일을 자초하게 된다.
즉 국내기업에 필요한 기술을 해외자금이 지원하는 꼴이 된다.
CCUS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의지는 옳다. 기술은 금융을 필요로 하고, 금융은 더 나은 기술로 향할수밖에 없다. 최근 액슨모빌이 미국, 유럽은 물론 아시아로 탄소포집 허브를 확대하고 있다.
이 또한 우리기업, 우리정부, 지자체가 눈여겨 봐야할 대목이다. 왜냐면 신산업에 대한 냄새를 기가 막히게 맡았기 때문이다.
또한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기후안보, 에너지안보, 자원안보를 확고히 하여 요소수 사태같은 악몽을 재현하지 않길 기대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후위기에 대한 통찰력있는 시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시 한번 전문가의 활약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