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은 해수 또는 해안 삼각강의 소금물에 서식하는 식물·동물 및 기타 생명체들이다. 해양 생물은 우리가 호흡하는 많은 산소를 생성한다.
지난 6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발의한, ‘해양환경보호 성명서’가 세계 최대 과학기술 민간부문 국제기구인 ‘국제한림원연합회 성명서’에 따르면, 지구표면의 71%가 바다로, 인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 공간이다. IAP는 성명서에서 각국 정부, 시민단체, 회원국 한림원에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등 해양환경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추진하는 국제기구들과도 협력해, 대응책을 마련한다. 지난 6월 동해안은 총 3,989종의 해양생물이 출현했다. 서해권역(3,950종) 및 제주권역(3,116종) 보다 우수했다.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2015~2020년) 결과다.
경북도와 영덕군은 해양수산부 등과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한다.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보호생물 및 훼손 서식처의 체계적인 복원·증식, 구조·치료를 수행하는 전담기관인,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건립을 위해 노력한다. 현재 지구상 약 870만 생물종 중, 매일 150∼200종이 멸종된다. 이런 추세라면, 2050년에는 생물종의 15∼37%가 멸종할 것으로 예측된다. 생물다양성협약(CBD) 발표, ABS 나고야 의정서 채택에 따라, 생물자원이 인류 공동자산에서 국가 소유로 패러다임이 전환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됐다. 그럼에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및 해양환경공단에서 해양생물종 보전, 서식지 개선을 위한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보유시설 및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고래, 물범, 바다거북류 등 대형 해양생물의 복원 연구는 불가능에 가깝다. 기각류, 바다 거북류 등의 종 보전 및 복원 역시 시도조차 못한다. 해양생물자원의 종복원·증식연구는 바다라는 특수 환경과 육상생물과 비교해, 인공증식 기술개발 및 사육연구에 제약이 많다. 해양수산부는 제2차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2019년), 제5차 해양환경종합계획(2020년),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021년)에 국가차원의 체계적 해양생물종 증식·복원을 위한,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설립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입지선정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올해 완료한다.
경북도와 영덕군은 선제적으로 대응해, 자체 타당성 검토 용역을 2019년에 완료했다. 동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조경 수역으로 해양생물 다양성이 높다. 제주, 남해안과 달리 넓은 위도 스펙트럼을 가진 해역으로 기후 변화 및 해수 온도 상승에 따른, 생물 서식지 변화를 연구하기에 적합해, 해양생물종복원센터 입지로는 동해안권이 최적지다.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좌초·혼획된, 고래류는 총 1만 2,257개체였다. 지역별로는 서해안 7,105개체, 남해안 1,233개체, 동해안 3,919개체였다. 서해안에서 많은 개체가 발견됐다. 하지만, 상괭이(서해안 7,034개체, 남해안 1,133개체)를 제외한 참돌고래, 밍크고래, 낫돌고래 등 대부분의 고래류 좌초·혼획이 동해안에서 집중됐다. 해양경찰서가 파악한 2018년∼2019년 동해안의 고래 혼획 현황에서는 전체 1,076개체였다. 그 중 영덕 인근 해역에서 627개체가 혼획돼, 높은 빈도로 나타냈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를 영덕에 유치해, 해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한다.
이철우 지사는 센터의 영덕 건립으로 영양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함께 생태환경 연구 선도 지자체로 나간다.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의 건립 준비는 영덕이 이미 다 마쳤다. 이제 정부의 결정만 남은 셈이다. 입지조건도 영덕이 최적지다. 게다가 타당성조사 용역을 올해 완료한다니, 정부는 영덕의 유치 노력에 적극적으로 호응할 것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