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칼럼

RE100과 기업 경쟁력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21.03.23 18:17 수정 2021.03.23 18:17

손 성 호 선임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KERI)

2021년 들어와서 ESG라는 단어를 여기저기에서 많이 보고 듣게 된다. 이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약칭으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성과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 경쟁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기존에 이윤 추구만을 주된 목적함수로 추구하던 기업들에게 환경적·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RE100 캠페인에 동참하는 국내 기업들도 하나둘씩 증가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RE100은 기업의 주요 활동에 필요한 전력을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조달하겠다는 국제적 캠페인이다. 정부가 아닌 비영리 단체에서 2014년부터 자발적으로 시작되었는데, 해외의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선제적으로 가입해 왔으며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슈는 여기에 가입한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공급사슬 관리 측면에서 부품 등을 생산 및 제공하는 협력사들에게도 캠페인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부품 및 소재를 주요 품목으로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으로는 해당 사업의 지속가능 여부가 달린 문제이기도 하다.
국내 기업들 중 해외에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및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서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직접 구매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응도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전력산업 구조 및 시장 제도 하에서는 기업이 직접 해당 전기를 선택 및 구매함으로써 RE100을 이행할 수는 없다. 다행히 한국형 RE100이라고 하여 주요 이행수단으로 녹색프리미엄, 자체건설, 지분참여, REC구매, 그리고 제3자 전력구매계약과 같은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되어 산업경쟁력을 뒷받침해 주던 전기요금을 이용하던 국내 생산업체들의 입장에서는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의 구매에 따른 비용 증가와 이윤 하락을 감내해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이제 가격이나 품질만을 중심으로 우위를 확보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가치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현대 소비자들은 이미 자신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구매 행위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적 요소 등이 그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제는 소비 측면에서의 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들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은 FIT 및 RPS 등 공급 측면에서의 보급 및 확산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량은 꾸준하게 증가해 왔지만, 그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다. 재화 및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공존할 수밖에 없으며, 상호작용하는 관계임을 고려해야 한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소비 측면에서의 수요가 촉진된다면, 재생에너지의 공급과 확산도 자연스럽게 가속화될 것이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