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중·하류의 취수원이 오염되어 상류로 이전해야 하는 것은 과학이다. 그리고 상류에서 하루 100만 톤을 취수하면 강물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보충해주는 것도 과학이다. 또한 보충수원이 따로 없으므로 하류에서 순환시켜야 하는 것도 과학이다.
그러면 중류지역에 하류수가 순환공급 되어 오염되므로, 대구, 구미, 칠곡, 상주까지 일괄하여 더욱 맑은 상류수를 지방광역상수도로 공급해야 하는 것도 과학이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수량·수질이 가능하고, 보호구역도 피해가 없으니 구미지역으로 이전해도 괜찮다는 주장을 되풀이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구미도 30년 전의 페놀사고 피해지역이므로 최상류로 이전해야 한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취수원 이전방안이라면 행정협의를 하면 될 일이지만, 그렇지 못하니까 보상 협상조차 반대하는 것이다.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연구용역도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안동·임하댐까지 들썩거리며 파행을 겪고 있다.
친환경적으로 낙동강 물을 옛날처럼 맑게 하면 최상의 대책이 되겠지만, 장기간 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실현가능 한 것이므로, 당장 1,300만 주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식수대책은 시급히 선행되어야 한다.
낙동강 재자연화가 된다고 해도, 산업단지 중금속과 미량유해화학물질은 맑은 물과 상관없이 외부에서 불시에 오염사고로 유입되는 것이므로, 취수원은 오염원 상류로 이전해야 안전하다.
최근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되면 취수원 이전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들이 있으나, 이 또한 과학적인 근거와는 동떨어진 비현실적인 생각이다.
광역통합이 된다고 해도 시군협의를 거쳐야 하며, 상·하류지역 간에 상생발전을 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수용이 가능한 것이다. 낙동강 수계관리 차원에서도 행정구역이 문제가 아니라, 과학적인 수리방안이 근본대책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상·하류지역 상생발전적인 취수원 이전이 이루어지면 하류지역에서 힘들게 보상을 하지 않아도, 상류지역에서 지방광역상수도사업으로 연간 300억 원의 세외수입을 얻을 수 있어서 소멸위기에 처한 북부지역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상류지역의 경제발전과 중·하류지역의 맑은 물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생발전의 롤 모델이 될 것이다. 낙동강 물 선순환구조가 상·하류지역의 경제까지 선순환 시켜주는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상류취수원의 적정지점은 안동~예천 구간의 경북도청 신도시 부근이다.
강물이 흐르고 있는 지점에서 취수하고 동시에 그만큼 순환보충해주는 방식이다. 안동·임하댐 안에서 취수가 안 되는 이유는, 가뭄이 극심할 때에 저수량부족과 하류보충수를 투입하게 되면 댐 저수전체가 오염되며, 댐 둘레 상수원보호구역 지정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강물이 흐르는 병목지점에서 취수하고 보충하는 과학이 필수조건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수리권 차원에서도 지방광역상수도사업은 절실하나 지방자치단체 스스로가 깨닫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안타깝다.
수도법에 따라 민간이나 지방이나 광역상수도사업을 할 수 있다. 지금 구미이전 방안은 수자원공사의 광역상수도사업이므로 대구시의 물 값은 수공수입이 되지만, 안동~예천 상류지역의 지방광역상수도사업으로 취수 및 정수를 하여 공급하면, 시군에서 연간 300억 원의 세외수입과 200여 명의 고용창출을 획득하여 낙후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울산 반구대까지 보호할 수 있는 대구 취수원 상류이전은 얼마든지 가능하나, 지금처럼 일방적인 취수는 안 된다.
협상이 부족해서 안 되는 것이 아니라 이치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부산지역도 마찬가지다. 남강이나 황강이나 상류에서 취수하여 광역으로 일괄 공급하고, 하류에서 순환·보충시키면 상·하류지역이 상생발전 할 수 있다.
창원권역까지 상·하류 순환공법으로 상류에 취수원 이전을 하게 되면, 낙동강유역 3권역 1,300만 주민들의 식수문제는 완전하게 종식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