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 정성훈 박사는 17일 '대경 CEO Briefing' 제561호를 통해 '물 부족한 대구, 시민참여형 빗물 재이용 운동으로 풀어가자!'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상수원은 하천수 및 호소수 등 표류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국지적인 가뭄 발생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따라 만성적인 가뭄 발생에 대처하기 위한 빗물 재이용 정책 수립은 국제간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적응 방안으로 바람직하다.
전 세계적으로 도시 침수, 하천 건천화, 지하수 고갈 등 자연적인 물순환의 왜곡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해소 및 완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세계 주요도시들은 ‘물순환 생태도시’를 조성한다는 차원에서 자연회복력 개념을 도입한 ‘저영향개발기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대구시는 연간 총급수량 2억1900만㎥, 유효수량은 2억7900만㎥이며 특히 누수율(4.9%)은 타 광역지자체에 비해 높은 상황이어서 당분간 시설노후화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구시의 부족한 예산을 감안한다면 물 재이용과 관련된 기반시설(정수·취수·저류시설 등) 확충사업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지역 내 물자원 관련 기본계획 수립시 부족한 물 자원을 대처하는 차원에서 시민참여운동 전개방안을 적극 포함할 필요가 있다.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010.6) 및 시행(2011.6)에 따라 지역내에서 빗물 재이용 분야의 전문 기술인력 및 기술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시민을 대상으로 기술인력 및 정책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민들이 빗물 재이용에 적극 동참하는 개념을 담은 ‘지역특화형 도시브랜드’ 구축과 빗물 재이용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시민단체, 민간업체 등에게 공공청사 옥상정원 또는 빗물 재이용 시설을 활용한 수익형 시민교육·문화·탐방프로그램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토지이용에 상관없이 손쉽게 설치가능한 저영향개발 기술요소(빗물저금통, 옥상저류조를 활용한 옥상정원 및 텃밭 조성 등)을 활용하여 빗물 재이용하거나 빗물 재이용 시설을 설치하는 시민들에게는 보조금 및 행정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빗물 재이용 관련 ‘빅데이터’의 일반공개를 통해 시민들이 빗물 재이용 모니터링 역할을 권장해야 하며 '대구 3D지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분석시스템 구축은 관련자료의 신뢰성 제고 이외에 지속적인 시민참여운동 활성화가 기대된다.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2010)에 근거해 ‘(가칭) 대구시 빗물 재이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이 필요하며 조례상에서 빗물 재이용 관련 기본계획 수립, 재활용시설 설치 및 개선 등과 관련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황보문옥 기자 hmo491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