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예방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에 가속도가 붙어 치매환자 증가를 의료·요양 인프라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치매 노인은 68만6000명으로 추산된다. 치매유병율은 9.99%로, 노인 10명중 1명은 치매 환자인 셈이다. 그동안 정부의 치매 관련 대책은 건강보험 적용 확대 등 의료·지원 인프라 확대에 맞춰져 치매노인 관련 혜택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치매진료인원은 2006년 10만5253명에서 2014년 44만2855명으로 8년간 320.8%, 연평균 19.7%씩 증가했다. 치매진료비도 같은기간 1898억원에서 1조6142억원으로 750.5%, 연평균 30.7% 증가했다.반면 이 때문에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지난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43만5000명중 치매환자는 54.3%(23만6000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1인당 평균 요양비용은 1023만원 수준에 달한다.지난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역시 11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약 43조2000억원으로 269.2% 증가했다.오는 2050년까지 치매 노인은 유병율 15.1%인 약 271만명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갈수록 치매에 따른 사회 비용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이 때문에 치매 예방·조기검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치매 고위험군을 조기발견·지속적 관리시 치매발병이 2년 지연되고 치매를 조기에 꾸준히 치료시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이 5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용절감 규모는 연 5174억원 수준이다.이와 함께 치매 노인에 대한 가족 부담이 크다는 점도 문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치매 노인 1215명 중 72.1%가 가족의 수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 대한치매학회가 치매환자 보호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8%가 치매환자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근로 시간을 줄였다고 답했다.정부도 조기발견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을 위해 예방·조기발견을 통해 증상악화와 시설입소를 지연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복지부는 저소득층 치매 노인중 치매위험이 높은 만 60세 이상을 대상으로는 보건소를 통해 치매검진을 지원하고 치매진단을 받은 경우 월 3만원 이내 치매 진료비와 약제비를 지원중이다.올해 치매전담실 도입,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시간 확대 등 치매 관련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재가 치매노인을 지원하기 위한 방문요양, 간호 통합서비스 등 다양화하고 있다. 특히 가정내 치매노인 수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증치매수급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연간 6일 24시간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치매 가족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나가고 있다.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를 통한 24시간 치매가족 상담제공도 제공 중이다.복지부 관계자는 "치매가 환자와 가족들만의 고통이 아니라 정부와 전 국민이 함께 노력해야하는 문제"라며 "치매 환자와 그 가족분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들이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