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이 생활비를 마련함에 있어 본인의 부담은 늘고 자녀들의 지원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를 위해 우리 사회가 소득지원, 취업지원, 요양보호서비스 등에 힘써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을 묻는 설문조사에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라는 답이 66.6%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2013년 63.6%에 비해 3.0%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모아놓은 재산으로 노후를 보내는 비율은 낮아지고 60세가 넘어서도 노동을 해서 번 돈(53.1%→54.4%)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율은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재산소득'이라는 응답이 2년 전 12.2%에서 11.7%로 소폭 줄었고 저금리의 영향으로 '예금'은 9.9%에서 6.3%로 3%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정부 및 사회단체의 지원으로 비용을 해결한다는 응답도 6.6%에서 10.4%로 3%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반면 '자녀 또는 친척의 지원' 항목은 29.8%에서 23.0%로 크게 줄었다. 다만 고령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 또는 친척이나 정부 및 사회단체에 의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았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72.7%는 '노후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국민연금'이 55.1%로 가장 많았다. 30대와 40대의 노후 준비율이 각각 86.0%, 83.8%로 높은 편이다. 60세 이상 연령층의 경우 자녀에게 노후를 의탁하려는 비율은 27.0%로 나타나 2년 전 31.7%보다 감소해 노후를 본인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해졌음을 보여준다. 노후를 위한 사회적 관심사는 노후 소득(40.4%)과 취업(26.3%), 노인요양서비스(19.1%) 순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전 연령대에서 노후 소득지원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19~59세에서는 취업지원을, 60세 이상에서는 요양보호서비스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본인 세대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1.8%로 2013년(28.2%)보다 6.4%포인트 낮아졌다.자식 세대에서의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인세대보다는 높은 31.0%로 나타났지만 2년 전(39.9%)보다는 8.9%포인트 감소해 감소폭이 본인세대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자 10명 중 6명은 실직이나 이직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우 불안하다고 느낀 사람도 16.4%에 달했다. 특히 서비스판매나 기능·노무직의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의 재정상황이 악화된다면 제일 먼저 소비를 줄일 지출항목은 외식비(49.2%), 식료품비(32.8%), 의류비(31.8%), 문화여가비(30.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 노인들은 생존에 꼭 필요한 식료품비(37.8%)와 연료비(36.8%)를 줄이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우리 사회의 노인빈곤 문제를 여실히 나타내는 부분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