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일 항생제 감축과 내성관리 중장기대책을 발표한 것은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이 선진국보다 훨씬 많은데다 항생제 내성문제가 전세계적인 이슈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정진엽 복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국가 항생제 내성관리 대책'을 발표하며 "최근 국제사회에서 항생제 내성균의 발생과 유행이 지금 치료법이 없는 신종 감염병 보다 파급력이 높거나 비슷하다"며 "사망률 증가, 치료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 등으로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될 뿐아니라 사회·경제발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매년 항생제내성 감염으로 미국에서 200만명이 질병에 걸리고 이중 2만3000명 이상이 사망한다. 또 영국 정부의 보고서에서는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0만명이 내성균으로 사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률이 인체와 가축 모두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 경각심이 더 필요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항생제 사용량은 1일 1000명당 31.7명으로 OECD 12개국 평균(23.7명)보다 35% 많다. 이는 하루동안 1000명중 31.7명이 항생제를 처방받고 있다는 뜻이다. 감기를 포함한 금성상기도염의 항생제 처방률은 2002년 73.3%에서 지난해 44%로 감소추세이지만 최근 4년간 44~45%로 정체되고 있다. 장알균 반코마이신 내성률도 한국이 36.5%로 영국(21.3%), 독일(9.1%,) 프랑스(0.5% )를 크게 상회한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일부 세균 감염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생제 사용을 권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인식은 낮다. 지난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실시한 항생제 관련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1%가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고 잘못된 응답을 나타냈고 항생제를 임의로 복용 중단한 경험도 74%에 달했다.정 장관은 "요즘 선진국을 포함한 각국 행동계획 수립하고 내성 대응계획과 범부처 국가대책을 발표해서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추게 됐다"고 설명했다.실제 전세계적으로 지난해 5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행동계획을 채택하고 국가별 행동 계획 마련과 국제 공조를 강력히 촉구했다.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의 주요 행동계획 중에서도 항생제 내성이 포함되는 등 선진국들은 국가 안보의 측면에서 접근하며 국가별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또 올해 9월에 열리는 G20정상회의와 UN총회에서도 항생제 내성 문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각국의 정책적 우선순위를 끌어올리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