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권광택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장이 ‘제62차 EDI 정책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경북도의회 제공 |
|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가 지난 18일 경북여성가족플라자 대강당에서 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 경북행복재단, 경북여성장애인복지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주최로 ‘제62차 EDI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 권광택 위원장을 비롯해 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 도기욱 의원, 도의회 장애인교육지원특위 박선하 위원장, 유정근 경북도 보건복지국장, 정재훈 경북행복재단 대표이사, 이영석 경북 여성장애인복지관장, 문애준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대표, 배예경 사단법인 경북장애인부모회장, 관계 공무원, 도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여성장애인 고용지원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토론회 시작에 앞서 권광택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지난 2024년 5월 기준 여성장애인의 고용률이 22.3%로 여성 전체 고용률 55.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특히 경북은 여성장애인 고용률이 19.6%로 남성장애인 고용률 42.3%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여성장애인이 노동시장 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강조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호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정책연구실장은 ‘여성장애인 고용동향 분석 및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여성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해 생애주기, 장애 유형, 취업 욕구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마련이 필요성과 40~50대 여성장애인의 고용 저조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부문과 대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여성장애인 고용의무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어서 두 번째 발표를 한, 이영석 경북여성장애인복지관장의 ‘경북도여성장애인복지관 일자리지원 우수사례’란 주제로 발표했으며, 여성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여성장애인 일자리 지원법 제정, 일자리 관련 교육 강화, 안정적인 근무환경 보장, 고용에 대한 인식 개선, 기업과 연계한 맞춤형 고용 인력 양성 등이 다양한 지원책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박선하 도의회 장애인교육지원특위원장, 문애준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대표, 배예경 사단법인 경북장애인부모회장 등 3명이 토론자로 참석한 가운데 좌장을 맡은 권광택 위원장 진행으로 열띤 토론을 펼쳤다.
권광택 위원장(안동)은 “토론회는 여성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며, “여성장애인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법과 제도를 보완하고,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