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일자리창출, 사회적 기업 최우수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4.11.26 07:00 수정 2024.11.26 07:00

신자유주주의 사회에선, 빈부격차가 사회를 불안하게 한다. 사회가 불안하면, 경제발전은 그 자리에서 주춤한다. 이의 대안이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이다.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를 우위에 둔다. 취약계층을 노동시장으로 연결한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 기업의 수익은 주주와 소유자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운용되기보다는 그 사업체, 또는 지역사회를 위해 재투자된다. 운용방식에서도 친환경적, 민주적으로 운용한다.

2021년 3월 24일 본지 보도에 따르면, 경북내 사회적 기업 수가 2020년 12월 말 기준은 369곳이었다. 인증 174, 도 지정 160, 부처형 35개 였다. 서울, 경기에 이어 전국 세 번째로 많았다. 2021년 경북도는 사회적 기업 육성 자치단체 평가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난 2017년 대상, 2018년 장려상, 2019년 우수상에 이은 수상이다.

2019년 고용부에 따르면, 2025년까지 2579개 사회적 기업을 육성해, 2만 9164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한다. 170개 사회적 기업을 새로 인증했다. 이번에 인증 받은 앨리롤하우스(대구 중구 소재)는 ‘학교 밖 청소년’과 ‘위기 청소년’에게 제과·제빵 기술을 가르쳐주고, 꿈을 키우는데 도움을 줬다.

지난 22일 경북도가 서울대 시흥캠퍼스에서 열린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사회적 기업 기념행사’에서 2024년 사회적 기업 육성 우수 자치단체 평가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경북도는 2022년 해당 분야 ‘대상’을 받은 후 2년 만이다. 경북도가 추진한, 사회적 기업 육성 정책의 우수성을 인정했다. 평가 분야는 일자리 창출이다. 또한 판로 지원, 예비 사회적 기업을 잘 관리했다.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했다. 사회적 가치지표(SVI)참여 및 부정수급 방지에 노력했다. 지방시대를 구현했다. 사회서비스 제공 성과 등 5개 분야였다.

고용노동부는 매년 각 자치단체의 사회적 기업 육성 사업 성과를 평가한다.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해, 다양한 우수사례 발굴과 자치단체가 주도한다. 중앙부처가 지원하는 지역 기반 사회적 기업 생태계 조성의 토대를 마련한다. 경북도는 2010년 전국 두 번째였다. ‘지자체형 사회적 기업’을 지정 육성한다. 대기업 연결 판로개척 등 맞춤형 자원을 연계했다. 사회공헌 기부형 착한 소비 프로모션, 종합 상사형 판로를 지원했다. 사회적 경제 청년 일자리를 창출했다. 사회적 가치 우수기업 성장지원 모델을 발굴했다. 다른 지역의 벤치마킹이 된, 정책을 다수 발굴 운영했다.

경북도는 정부 제4차 사회적 기업 기본계획에 따라, 독자적인 중간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국비 지원이 중단된 상황에서도 사회적 기업 성장을 위한 지원을 지속했다. 이 같은 자립 추구 및 시장 지향적 정책의 적용 성과로 경북 사회적 기업은 지난해 역대 최대인, 매출액(5,574억 원)을 올렸다. 상근 근로자 4,412명의 고용 성과를 달성했다. 취약계층 고용 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인 55%(2,450명)를 달성했다. 10만 명이 넘는 지역 주민에게 돌봄, 교육 등 사회서비스 무상을 제공했다. 사회적 목적 재투자 금액은 300억 원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착한소비 특별전 개최로 수익금 일부를 기부했다. 싱글 맘 돕기 등 독창성과 효과성 있는 정책 추진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사회적 기업 제품 판로 지원 우수기관 부문에 ‘경산시’, 사회적 기업 육성 유공 민간단체 부분에서는 ‘농업회사법인 ㈜상하식품’(문경 소재)이 고용노동부장관상을 받았다.

예천에서 580여 농가와 콩 농사로, 대기업 식품 공장에 납품하는 김영균 한국에코 팜 대표는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농산어촌 지역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양금희 경북 경제부지사는 사회적 기업의 자립과 사회적 가치 경영 환경 육성을 위해 노력한다. 경북도는 지금까지 보다 더욱 노력해, 사회적 기업에서 청년에서부터 살기 힘든 노인까지 일자리를 창출해 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