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는 항상 청정한 것이 생명이다. 게다가 풍부해야한다. 최소한 이 두 가지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주민들은 먹는 물에 돈을 들인다. 안 그래도 고물가에다, 실질소득은 하루가 다르게 쪼그라드는 판이다. 물이라도 좀 편하게, 안심하고 마실 수가 있어야만, 돈의 갈증에다 밥상 물가까지 다락같이 치솟는 것이 오늘의 시민들의 살림살이가 아닌가.
수도법 제2조 6항은 지방자치단체 및 수도사업자는 수돗물에 대한 인식과 음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수도법 제30조에 의거해 전국의 지자체는 수돗물 수질 평가와 수질 관리, 수도시설 운영의 자문을 위해 민간인들로 구성된 수돗물평가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 같은 법은 '현실에선 없고, 법전에만 있는 것'으로 본다.
대구시는 늘 ‘청정 상수도’에 갈증을 느꼈다. 2017년 수돗물홍보협의회·수돗물시민네트워크에 따르면, 국민의 수돗물 만족도가 90%를 넘어 매우 높았다. 하지만 실제 수돗물을 마시는 사람은 2명 중 1명 수준이었다.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자들은 주로 정수기(34.3%) 물을 먹었다. 먹는 샘물을 사 마신다(13.1%)거나, 지하수·우물물·약수 등을 마신다(3.2%)는 응답도 있었다. 지난 4월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정수장 435곳의 위생 실태를 점검하는 과정서 유충도 검출했다.
지난 5월 이민세 먹는물대책소비자연대 대표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블록 단위 상수도관 세척 이행률이 5%이하인 지자체가 79곳이었다. 블록 세척을 전혀 하지 않은 지자체가 52곳이었다. 구간 단위 상수도관 세척 이행률이 5% 이하인 지자체는 108곳이나 됐다. 향후 7년 내 예상 세척 달성률이 30% 이하일 것으로 전망하는 지자체가 93곳이었다. 그중 10% 이하에 머물 것 같다고 응답한 지자체가 무려 68곳(45%)이나 됐다.
지난 15일 홍준표 대구시장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 권기창 안동시장이 대구 산격청사에서 낙동강 상류지역의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대구시장과 환경부장관, 안동시장의 3자가 면담했다.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에 대한 환경부 검토 결과를 공유한다. 향후 추진 방안 논의 및 사업 추진을 공식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는 시민이 수질 오염사고 걱정 없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안동댐 직하류에서 원수를 취수한다. 110㎞길이 도수관로를 따라, 대구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공급하는 사업이다.
대구시는 작년 11월 하루 63만 톤 규모 수량을 대구시에 공급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추진안을 환경부에 건의했다. 환경부는 최대 가뭄 시에도 낙동강 상류지역의 물 이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취수하기 위해서는 하루 46만 톤을 취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대구시는 부족한 수량은 강변 여과수 및 운문댐·군위댐 등을 활용한 대체 수자원으로 확보한다.
이 날 간담회 이후,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2021년 수립된, ‘낙동강유역 통합 물관리방안’을 변경하는 절차가 최우선으로 진행된다. 대구시는 동시에 사업 절차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취수지점에 대한 상생협력지원 및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을 담은 ‘낙동강유역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특별법’ 제정도 함께 추진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댐은 지역 내 대규모 규제 지역을 만들어 내고 발전을 저해하는 애물단지였다. 이제는 하류 지역과 상생협력의 상징으로 안동의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이끌어내는 보물단지로 거듭 났다. 오늘 이 자리가 진정한 낙동강 상·하류 교류협력시대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시민의 30년 염원인 깨끗하고 안전한 물 확보서, 낙동강 유역 전체 물 문제를 해결을 위한 출발점이다.
안동시는 안동호의 청결을 책임질 상수도 행정력을 발휘 할 책임을 지게 됐다. 대구시도 안동호의 청결을 위해선 안동시와 대구시는 같은 물을 먹는다는 책임의식을 져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