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칼럼

100만t 가능한 ‘맑은물 하이웨이‘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4.07.11 07:51 수정 2024.07.11 07:51


지금 거론되는 46만t이 가능하다는 ’맑은물 하이웨이’직수공급을 100만t 강물 순환공급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환경부 연구용역에서 63만t이 어렵다지만 대경 신공항까지 100만t 지방광역상수도 공급으로 보완하면 울산 운문댐 공급까지 맑은물 정책을 성공시킬 수 있다. 그동안 강물순환 방안도 검토 해온 바 과다비용 문제가 있었으나 2조 원대로 같게 되었다.

지난 2020년 7월 국민신문고(제안번호 1AB-2007-0011419)에 건의하여 가능한 방안으로 검토된 바 있으며, 그 당시에는 정부(낙동강 물관리위원회)에서 1조 원 미만으로 해평 방안이 강력히 추진되고 있어 고비용 경제성으로 채택이 보류되었으나, 지금 안동댐 직하 지점에서 110km 도수관로 공급방안은 도청~구미 구간의 강물순환 방안과 유사하다.

강물 선순환구조 구축사업비는 송수관로 1조 원, 도수관로 1조 원, 취·정수장 및 가압장 5000억 원 등 2조 5000억 원 정도며 동력비는 1만 1000Kw로 펌프설비 왕복 30대 가동, 연간 90억 원 정도 된다. 상수원보호구역은 취수원에서 4㎞상류로 하회마을 문화재보호구역 중첩이나 산업폐수가 없는 청정지역이므로 10㎞공장도 별문제가 없다.

또한 재정이 열악한 북부지역 시·군에서 200명의 일자리 창출과 연간 300억 원의 요금 수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 특히 신공항을 연계한 대구·경북 통합 광역상수도사업으로 국비를 확보하고, 하류에서 오염 우려가 있는 상주, 구미, 칠곡도 상류에서 1차 정수해 현재 시스템대로 2차 처리로 지금보다 더욱 맑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지방자치 차원의 수리권 확보도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수공 광역상수도로 비싼 원수 공급과 외부경제에 기여하기 보다 지방 광역상수도로 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현명한 정책이다. 현재 안동시 지방 광역상수도로 의성, 예천, 영주, 청송 등 인근지역 맑은물 공급을 하고 있으며, 향후 안동댐, 임하댐 수리권도 확보해야 한다.

강물이 흐르는 경북도청~구미상류 취수지점은 안동댐 같은 제한구역이나 중금속 오염우려 문제가 적고 대구와 거리도 단축할 수 있으며 100만t을 순환시키므로 취수지점 하류지역에 하천유지수 변동이 없다. 농업용수와 지하수도 그대로 유지되므로 수질환경을 보전하며 100km순환방류로 유하거리가 늘어나 수질향상 효과도 기대된다.

여러 가지 효과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재정지원 부담이 없다. 강물 선순환구조는 상류에서 취수해 1차 일반정수처리 하여 대구·경북지역에 공급하면 해당 시·군에서는 현재 상수도시스템 그대로 2차 정수처리 해 공급하면 된다. 특히 고도정수처리에서 과도한 응집제와 염소소독으로 인한 과불화화합물 같은 부작용도 없앨 수 있다.

대구는 수도 요금도 현행수준으로 안동이나 지방 광역상수도 사업자(시·군)에 납부하면 된다. 현재 고도정수처리 비용보다 생산원가가 현저히 낮아질 것이므로 그 비용으로 공급자(시·군)에 충분한 요금 납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처럼 어려운 수 백억 원 재정지원 부담을 해소하고 기존 요금으로 대구·경북 상하류지역 상생발전을 할 수 있다.

또 하나 부연하면, 안동댐의 중금속 침적이 평소에는 바닥에 가라앉아 진흙 속에 배여 있지만 자연재해로 용출되거나 부유물로 떠올라 혼탁해질 수가 있다는 판단이다. 최근 감사원에서 '기후위기 적응 및 대응실태'감사 결과를 행안부 등에 통보하였는데, 안동댐도 홍수위험이 커지고 있으며 며칠 전에는 2.4지진도 발생한 바 있다.

대구취수원 이전 33년의 질곡을 벗어나지 못한 것은 강물을 일방적으로 끌고만 가겠다는 집착 때문이었다. 구미지역에서도 처음부터 강물 선순환구조와 같은 대안을 강구 했으면 해결 될 수도 있었지 않았나 아쉬움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단과 방법이라면 ‘맑은물 하이웨이’로 보완해 250만 식수대란을 하루빨리 종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