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은 우리의 영원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지역이다. 그럼에도 우리농촌은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일 할 인력이 없다. 인구 빙하기를 맞아, 농촌엔 이제부터 일손 부족으로 농사를 짓고 싶어도 짓을 수가 없는 처지에 빠졌다. 지난 달 4월 통계청의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208만 9,000명이다. 이는 전년 216만 6,000명에 비해 3.5%(7만7000명) 줄었다. 연령별 농가 인구는 70세 이상이 76만 7,000명이었다. 전체 농가 인구의 36.7%를 차지했다.
2023년 ‘농어업·농어촌 정책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 1000명 중 47.7%는 우리 농업의 가장 큰 문제로 ‘농업 노동력의 고령화와 일손 부족’을 들었다.
경북도가 본격 영농철을 맞아,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 안정적으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력지원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올해 공공 영역에서 98만여 명 인력 공급이 목표다. 경북도는 농업 인력서 오는 10월까지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 TF 상황실을 운영한다. 농작업 진행 상황, 인력수급 현황 등을 상시 모니터링 한다.
주요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중점 관리 시·군 10곳(김천, 안동, 영주, 영천, 상주, 경산, 의성, 청송, 영양, 봉화)을 선정했다. 농번기 인력수급 상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도농 인력 중개 플랫폼으로 농가 및 구직자 구인·구직 신청, 실적관리, 이력 관리 등을 전산화한다.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제공한다. 온라인 구인-구직자 매칭을 강화한다. 농번기 인력 부족 농가에 인력이 원활히 지원될 수 있도록 내국인 근로자 지원을 활성화한다.
지난해 46개 소를 운영하던 농촌인력공급서비스센터를 올해는 전 시·군 50개 소로 확대·운영해, 총 33만 명을 지원한다. 농촌인력 중개센터와 지원센터에서 도시 구직자 등 유휴 인력과 농가를 적기에 매칭해, 농촌 인력 부족 해소와 인력 수급 체계를 마련한다. 올해 처음으로 경북도 농촌인력중개센터도 운영한다. 인력중개센터는 인력수급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 한다. 도시 구직자 모집 홍보 활동에 힘쓴다. 관내 또는 인근지역의 인력 공급만으로 수요가 충족되지 않는 청송, 영양, 봉화, 울진 등 4개 시·군은 농촌에 체류하며, 농작업에 참여하는 체류형 영농작업반을 운영한다. 도시에서 모집한 700여 명의 체류형 영농작업반 참여 인력들은 농번기(5~11월) 중 1개월 내외로 농촌에 체류하며, 농작업에 참여한다.
농식품부와 고용부 협약으로 시행하는 ‘도농상생 일자리 채움 사업’에 안동, 영천, 상주, 문경, 의성, 청송, 청도 등 7개 시·군이 참가해, 5만여 명의 도시 유휴 인력을 지원받는다. 누구나 참여 가능한 국민 참여형 일손 돕기 운동도 지속한다. 경북도, 시·군 공무원, 농협 등 공공 기관과 관계기관, 대학과 연계해, 범도민 농촌 일손 돕기 참여 분위기를 확산한다.
실제 일손이 절실한 장애인, 고령 및 독거 농가 등에 부족한 일손을 보탠다. 농가 만족도가 높아지는 외국인 계절 근로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올해 상반기 20개 시·군에서 8,873명 외국인 계절 근로자를 법무부서 배정받아, 농가의 부족한 일손을 보탠다. 지난 한 해 배정받은 7,432명보다 대폭 늘어난 역대 최다 인원이다.
시·군이 선정한 농협에서 계절 근로자를 고용 후 1개월 미만의 단기 인력이 필요한 농가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공공형 계절 근로 센터를 지난해 4곳에서 11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경북도는 농식품부 공모사업인 ‘농업근로자 기숙사 건립지원 사업’에 김천시 등 5개 시·군이 선정됐다. 농촌 고용 인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김주령 경북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촌 인력지원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한다. 이 같은 것은 임시방편적으로 평가한다. 영구적인 것으론 농촌 인구의 증가책의 수립이다.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농촌을 현대화하는 작업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