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한 평생을 사는 덴, 질병을 앓지 않고 살 수는 없다. 이때는 의원급이든 병원급이든 3차 병원이든 찾기 마련이다. 내가 걸린 질병을 치료할 의사가 없으면, 큰 낭패를 볼 수가 있다. 의사를 찾아, 헤매다가 병이 낫기는커녕, 치료의 적기를 놓쳐, 끝내는 생명의 단축이나, 사망을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다. 문명화된, 한국에서도 이런 일이 심심찮게 발생한다면, 국가는 곧바로, 의사의 충원에 나서야한다. 나설 때는 의사가 앞장을 서야한다, 이는 의사가 누구보다 가장 잘 알기 때문에 그렇다.
2023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연 3,058명인 현재 전국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최소 1,000명 이상 확대해야 한다. 의료 취약지에 공공의대를 신설해야한다. 지역 의료공백과 전문의 과목 간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 2020년도를 기준에선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책임 의료기관 의사 수, 책임 공공병원 설치율, 치료가능 사망률 등 3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경북은 사는 ‘지역에 차별 없이 같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 수를 인구 1,000명 당 의사 수로 환산한 시·도별 책임의료기관 의사 수는 ‘경북이 0.55명’이었다. 전국 평균은 0.79명이었다.
2023년 국립중앙의료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5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만의료에 대한 접근성 취약도, 의료이용 취약도를 분석한 결과 43.2%인 108곳이 분만의료 취약지로 분류됐다. 위의 모든 통계치는 의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난 6일 정부는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증원한다. 현재 3,058명에서 5,058명으로 확대한다. 의대 입학정원을 비수도권의 기존 의과대학 중심으로 집중 배정한다.
포항시는 정부가 국민 생명과 건강권을 보장하고, 벼랑 끝 위기에 놓인 지방 의료 개선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19년 동안 묶여 있던, 의대 정원을 과감하게 확대한 것에 적극 환영한다. 의대 정원 확대가 지방 의료 붕괴를 막을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의과대학 신설에 대해서 구체적인 로드맵 제시 없이 추후 논의키로 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근본적인 지역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지역 거점 의대 신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과도한 수도권 집중과 이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는 특정 지방정부의 문제가 아니다. 열악한 지역의료 현실은 지방소멸을 더욱 가속화한다.
의료 취약지로 손꼽히는 경북은 의대 신설이 반드시 필요한 지역이다. 지역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스텍과 같은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갖춘 대학에 의대를 신설해야한다. 수도권에 버금가는 의과대학으로 성장시켜야한다. 국가균형발전과 의사과학자 양성도 시대적 과제다. 포스텍 의대와 연계 추진하는 스마트병원은 지역 거점 상급 종합병원의 역할을 수행해 수도권에 집중된 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시켜, 수도권과 지방의 심각한 의료 불균형을 개선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역 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경북도, 포스텍과 함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정부를 설득, 포스텍 의과대학 신설을 반드시 이뤄낸다. 단지 포항시의 주장에서, 왜 하필이면, ‘포스텍인가’를 묻는다. 포스텍은 공과대학으로 저명하다. 이 같은 저명을 그냥 둬야하는 이유이다. 게다가 포스택은 침묵하는 이유가 속으론 좋다 해도, 겉으론 표정관리도 아닐 터이다. 이게 아니면, 포스텍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포스텍의 저명한 교수들이 나서, 자기 대학에서 의과대학의 설립의 당위성과 합리성의 로드맵을 만들어, 여론에 물어야 한다. 포항시에도 저명한 병원이 많다. 이런 병원에 의대를 신설해야만 한다. 이게 훨씬 빠른 길이다. 포항시는 빠른 길을 두고, ‘왜 돌아가려고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