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늙어간다. 이젠 한국의 인구가 소멸 단계에 들어섰다. 지난 3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경북지역 평균 연령은 2008년 1월 39.3세였다. 2018년은 1월 44.4세다. 2020년 1월 45.6세, 2023년 2월 47.7세로 15년 사이 8.4세 늘었다.
경북 시·군에서는 고령 평균 연령이 2008년 43.9세에서 2023년 54.4세로 10.5세 증가해 가장 많이 노화했다. 청송은 10.2세(47세→57.2세)다. 의성군은 48.6세→58.6세고, 청도군은 47.1세→57.1세다. 안동시는 8.1세(40.8세→48.9세)다. 예천군은 2.9세(47.4세→50.3세)순으로 평균연령이 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 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총 인구는 5169만 2000명이었다. 전년(5173만 8000명)보다 4만 6000명(0.1%) 감소했다. 인구는 한 나라 또는 일정 지역에 사는 사람의 총수다. 인구의 규모, 인구구성, 인구동태 등과 같은 인구의 특성은 경제성장·건강·교육·가족 구조·범죄 유형·언어·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 인구가 이렇다면, 인구의 감소는 국력의 쇄진이다.
이런 판에 경북도가 인구정책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 6일 경북도가 ‘K-U시티 프로젝트’로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3년 지방자치단체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행안부는 이번 경진대회로 지역 주도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서였다. 서울과 세종은 제외했다. 전국 15개 시·도와 89개 인구 감소지역, 18개 관심지역에서 제출한 103건의 정책을 1차 전문가 서면 심사, 현장 발표 및 전문가 심사로 광역 2건, 기초 11건 총 13건을 우수사례로 최종 선정했다.
경북도의 ‘K-U시티 프로젝트’는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 대학-기업-지방정부가 상생 협력한다. 교육·취업·주거·결혼 통합지원으로 청년 지방 정주도시를 만드는 프로젝트다. 지역에서 지방정부와 대학, 기업이 함께 공동 기획하고, 선도 투자하는 지역소멸의 극복이다. 지방정부 정책으로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어, 최우수상 수상 및 인센티브 3억 5,000만 원을 받았다.
K-U시티 정책은 22개 시·군, 30여 개 대학, 90여 개 기업과 협력한다. 1시·군-1대학-1특성화로 기업과 지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을 유치한다. 대학-전문대-고교가 일체형 인력양성과 입지·산업·교육·의료 라이프 케어 규제혁신을 추진한다. 배움터-일터-삶터가 어우러지는 캠퍼스형 창의 주거를 조성한다.
봉화, 영양, 청송(일명 BYC), 울릉 등지엔 대학과 기업이 들어선다. 봉화는 대구가톨릭대 바이오메디 봉화캠퍼스를 설립해, 기업과 함께 인력을 양성한다. 청송은 항노화 산업을 기반으로 대구가톨릭대 뉴바이오캠퍼스를 설립해, 일자리를 창출한다. 울릉은 한동대가 글로벌 그린캠퍼스를 설립하여, 글로벌 리딩 기업과 함께 인력양성 체계를 구축한다.
경북도는 앞으로 22개 시·군에 1시·군-1U시티를 조성한다. 경북도는 지방시대를 선도하여, 오는 21일 경주에서 2023 지방주도 경제성장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201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비지트 배너지 교수를 초빙하여, 지방 주도 경제성장에 대한 기조강연을 듣는다. 국내외 전문가가 토론해, K-U시티 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다. 지방주도 경제성장 모델을 공유․확산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경북 K-U시티 프로젝트를 성공시켜 현장 중심의 플랫폼형 지방정부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킨다. 지난 11월 임기진 도의원(비례)에 따르면, 2023년 9월 말 기준 기초계정 지방소멸 대응 기금 집행률이 5% 미만인 지역이 8개 시·군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이게 사실이라면, 경북의 우수는 빛 바랜 것이다. 경북도는 이런 사례도 고칠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