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출 반등 시점으로 기대했던 7월 수출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동안 감소 폭을 줄였던 수출이 두 자릿수 마이너스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조업일수 감소와 선박 인도 물량 감소 등 일시적인 요인으로 의미를 축소하지만, 신흥국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브렉시트 여파 등으로 수출 회복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정부는 이달 들어 수출 감소 폭이 늘어난 원인으로 조업일수 감소와 선박 인도물량 감소를 지목했다. 실제 조업일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일 줄고, 같은 기간 선박 인도물량도 34억6000만 달러에서 19억9000만 달러로 줄었다. 6월까지 회복세를 보였던 유가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두바이 기준, 6월 평균 46.3달러를 기록했던 유가는 지난달 42.5달러로 떨어졌다. 자동차 업계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과 석유화학 정기보수 규모가 커진 것도 수출 감소 폭이 늘어난 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앞서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지난달 25일 기자단 간담회에서 "이달 5일간 36시간 진행된 파업으로 1만6000대의 자동차 생산 차질과 1만 대의 수출 차질이 예상된다"고 했다. 정부는 이같은 요인으로 인해 수출 감소폭이 확대됐지만 수출 회복 기반은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업일수·선박 수출 등 일시적 요인을 제거한 하루 평균 수출 감소율은 올해 중 최소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수출 물량도 감소율이 6월(-2.9%)에 비해 -1.6%로 줄었다. 문제는 수출 회복 기반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정부가 하반기 수출 회복의 관건으로 꼽았던 유가는 40달러까지 주저 앉았다. 브렉시트로 인한 수요 위축과 높아지는 국내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과의 무역 마찰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브렉시트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와 국내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과의 무역 마찰이 수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높아져가는 통상 압력도 수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미국 민주당은 새로운 정강정책을 통해 이미 체결된 무역협정들에 대해 재검토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도 한·미 FTA에 대해 "일자리를 죽인다"며 재협상을 시사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