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안동대 경도대 통합, 교육·연구기관 공동 협력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3.10.02 09:45 수정 2023.10.03 05:44

공공형 대학으로 탈바꿈 ‘글로컬 30 승부건다’

2022년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서울 소재 대학들에서, 인문·사회계열 학과 17개가 사라졌다. 2022년 ‘대학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국가재정 전략 정책 토론회’에 따르면, 교육부가 인구감소 속 대학 정원이 그대로 유지한다면, 20년 뒤 적게는 15만 명, 많게는 31만 명의 정원 미달 사태를 우려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달 26일 경북도가 도청에서 안동대, 경북도립대, 경북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경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경북환경연수원, 경북인재개발원, 경북축산기술연구소와 ‘경북도 교육·연구 공공기관-대학 협력사업 공동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4월 18일 교육부가 발표한 글로컬대학 공모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 경북도는 총 3건이 예비 지정됐다. 그중 1곳인 '안동대와 경북도립대'가 제안한 통합 공공대학 신설에 따른 협력 방안의 구체화였다. 교육‧연구 공공기관과 공동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공대학의 힘을 하나로 집결해, 시너지를 창출한다. 지역 소멸 위기에 있는 경북 북부권의 지속 가능성을 지역대학이 제고한다.

7개 경북 교육‧연구 공공기관과 안동대‧경북도립대는 지자체·대학·공공기관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대학-공공기관 간 우수 연구인력·교원 교류, 인프라 공유로 공공인재 혁신역량을 강화한다. 지역기업 특화 기술 공동 연구개발 및 맞춤형 산업인력을 양성한다. 경북도는 경북 공공기관-대학 간 협력체계 추진을 위해, 분야별 협력 사업을 발굴한다. 인적·물적 공유 플랫폼을 마련해, 공동 운영한다. K-ER 협업센터(K-Education&Research Cooperation Center, 대학중심 교육․연구 협업기관)를 통합대학 내 신설해, 대학 특성화와 교육․연구기능을 강화한다.

지난 8월부터 교육·연구 공공기관-대학 협력방안 회의를 3차례 거쳤다. 분야별로 정책과제 발굴, 연구개발, 전문 인력 양성 등 공동으로 운영할 협력 사업을 총 33건 발굴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통합 추진 대학과 7개 공공기관이 참석해,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대학 중심 지역발전을 위해 분야별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여러 방안을 제시했다. 경북연구원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공공정책의 연구 인력을 양성한다.

경북형 공공정책 대학원 설립을 제안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급변하는 디지털시대에 인문학 위기의 대비로 국학전문대학원을 설립해, 인문학 통합 학위과정을 개설·운영한다.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은 바이오․백신분야 전문 인력양성과 연구, 기술개발, 산업화를 지원한다. 경북 환경연수원은 환경 분야 정책개발과 기업 CEO 대상 탄소중립, 산림, 에너지에 대한 교육과정을 고도화한다. 경북 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경북 소속의 인재개발원, 축산기술연구소는 분야별 교육 플랫폼구축에 따른 공동 운영을 제안했다.

‘안동대와 경북도립대’는 공공기관-대학 간 협업이 대학 특성화와 교육·연구 기능을 강화한다.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저출산, 청년 유출, 수도권 집중 문제는 지역대학이 그 중심이다.

인구는 정원이 없다. 하지만 대학은 정원이 있다. 인구의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내려앉았다. 이런 형편이니, 대학끼리 통합을 해야만, 서로가 산다. 문제는 통합하려는 논의에서, 동창회(졸업생)와 재학생들은 왜 없는가를 묻는다. 이들이 통합의 주체들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여러 기관 단체의 장’들이 모여, 논의를 할 망정, 우선 동창회(또는 재학생)가 통합 논의서, 소외감을 느낀다면, 문제는 복잡해진다. 자기 모교가 없어지는 데에 동창회와 재학생이 찬성하지 않을 것이 뻔하다. 인구와 대학정원은 정비례로 가야 한다는 것은 동창회든 재학생이든 통합사유를 잘 알아도, 그렇다. 지금이라도 이들의 의견을 경청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