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버섯 구별법 중 하나.<산림청 제공> |
|
가을 철 채취가 성행하고 있는 버섯류에 대해 산림청이 주의보를 발령했다.
현재 우리나라 버섯 2,170종 가운데 식용 가능 버섯은 493종이고, 나머지 1,677종은 독버섯이거나,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분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과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원장 김명수)은 버섯 발생이 늘어나는 가을마다 무분별한 야생버섯 채취와 독버섯 섭취로 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며 독버섯 주의보를 발령했다.
한편 덥고 습한 여름이 지나 가을이 되면 야생버섯 발생이 갑자기 늘어난다. 아울러 이때는 추석 성묘와 나들이, 산행도 증가해 만큼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버섯은 건강에 좋은 식재료로 알려져 비전문가도 온라인에서 얻은 불분명한 지식이나 일반 도감을 활용해 야생버섯을 채취하지만, 일부 버섯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 할 정도의 강한 독소를 지니고 있다.
특히, 야생버섯은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만 구매해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야외에서 식용버섯과 생김새가 비슷하다고 채취해 먹는 행위는 사망사고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아울러 ▲색깔이 화려하고 원색이면 독버섯이다(X) ▲세로로 잘 찢어지면 식용이다(X) ▲버섯 대에 띠가 없으면 독버섯이다(X) ▲곤충이나 벌레가 먹지 않으면 독버섯이다(X) ▲은수저에 닿았을 때 색깔이 변하면 독버섯이다(X) ▲찢어서 유액이 나오면 독버섯이다(X) ▲끓이면 독이 없어진다(X)는 등의 정보는 모두 잘못된 것으로 맹신해서는 안 된다. 버섯은 종마다 각기 다른 모양의 특징과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야생버섯 섭취 후 메스꺼움, 구역질, 구토, 설사,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먹은 음식물을 토하고 바로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 이때 환자가 먹고 남은 버섯이 있다면 함께 가져가도록 한다. 이는 독버섯은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독소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한상국 연구관과 농촌진흥청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아직도 잘못된 독버섯 구별법이 통용되고 있다. 야생버섯은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구별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만 구매해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전했다. 김봉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