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 '지역 경쟁력과 고용 성과 제고' 일자리 정책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3.08.03 06:43 수정 2023.08.03 07:38

정부 종합대상, 우수사업 분야 최우수상까지'겹경사'

직업은 개인이 생활영위를 위해서 수입을 얻을 목적인, 사회 활동이다. 또한 개인이 사회에 참여하여,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맡는다. 일자리는 사회발전에 기여한다. 지난 2월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부터 23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증가 폭은 지난 5월(93만 5천명)을 정점을 찍었다. 30대와 50대는 각각 1만 7000명, 10만 7000명 늘었다. 20대 이하와 40대는 각각 5만 1000명, 6만 3000명 감소했다. 소위 사회의 허리분야는 감소했다는 뜻이다.

경북도가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2023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서 공시제 분야 광역, 기초지자체 통합 전체 1위인 종합대상과 우수사업 분야 최우수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고용노동부는 2012년부터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을 개최한다. 해마다 지역 일자리 정책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해, 시상한다. 이번 시상은 공시제 부문 종합대상과 우수사업 부문 최우수상을 함께 받은 지자체는 경북이 처음이다. 경북이 추진하는 일자리 정책이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다. 경북도는 산업과 노동 전환 시대에 대비해, 지역 경쟁력과 고용 성과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과 대상별 특성을 반영했다.

특히 차별화된 일자리 전략인 ‘생활 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을 추진했다. 지방 소멸과 청년 유출 방지 등 지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지역 주력산업과 미래 전략산업을 연계했다. 현장 중심의 일자리 사업을 정부 일자리 공모사업 및 자체 사업을 연계해 시행했다. 이런 전략을 추진하여, 지난해 경북 취업자 수 증가율이 146만 2,000명으로 전년비 5만 2,000명(3.7%)이나 증가했다. 고용률은 62.9%로 1.9%p 상승했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북도가 추진하는 일자리 정책이 뚜렷한 고용 창출로 나타났다는 평가다.

경북도는 일자리 담당자가 3년 이상 직무에 종사했다. 일자리 업무가 전문 직위로 지정되는 등 일자리 정책 추진에 대한 행정적 지원 기반을 마련했다. 지역 여건에 맞는 생활 경제권 일자리 패키지 지원정책이 지역 고용 성과의 마중물 역할을 다했다.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글로벌 백신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성장 잠재력이 있는 미래 산업 육성에 앞장섰다. 로봇, 미래 자동차, 바이오, AI 등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응한 인력 양성에도 온힘을 다했다.

경북도는 지역 내 10조 규모 투자를 달성하여, 1만 2,000개 일자리 창출 성과를 거뒀다. 사람에 초점을 맞춰, 미래 경북을 이끌어가는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지역기업에 청년 인건비, 정착 지원금 등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했다. 산·학·관 동반성장 상생 일자리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지역 대학과 함께 산업계 특화 인재를 양성했다. 지역 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지난해 청년 고용률은 42.1%(3.4% 증가), 여성 고용률은 58.3%(3.6%)로 전년 대비 수도권을 제외한, 증가율이 전국 최고 수치를 보였다.

지역기업에 대한 기술 고도화, 인력양성 등 패키지 지원과 근로자의 생애 일자리 재설계를 지원했다. 산업 고도화 및 전환에 따른 고용 창출 확대, 노동 전환을 지원했다. 의성군 안계면의 이웃사촌 시범마을은 청년 특화거리와 주거 공간을 조성했다. 농촌 혁신성장의 전국적 모델로 성장했다. 농업의 미래를 이끌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 대한민국 미래 농업의 선두주자가 됐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일자리 정책이 좋은 영향력을 펼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한다. 경북도의 일자리 창출을 평가하면서, 2022년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의 ‘고령층 고용률 상승요인 분석-노동공급을 중심으로-’보고서에 따르면, 어르신들은 낮은 임금수준 탓에 일자리 질이 열악하다. 경북도는 이런 어르신들의 일자리 복지에도 정책을 펴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