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수단이 없는 모든 사람은 먹고 살기위해서, 일정한 직업을 가져야한다. 직업은 생활을 위해, 수입을 얻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 활동이다. 소득을 얻어 의식주를 해결하는 수단에서부터 개인이 사회에 참여하여, 사회적 역할을 맡는다. 따라서 직업을 고를 때에는 자신의 건강과 적성·능력·특기를 잘 생각하여 알맞은 것을 찾아야 한다. 이렇게 애써 구한 일자리에서도, 살아남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서도, 일자리가 있어도, 모두가 경쟁이다. 일자리를 찾는 것에서도, 그 일자리의 안에서도 경쟁뿐이니, 모두가 피로사회에서 몸부림친다.
지난 2월 통계청에 따르면,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 인구 감소가 겹치면서, 취업자 증가 규모는 8개월째 줄어 22개월 만에 최소 수준으로 떨어졌다. 20대 이하와 40대는 각각 5만 1000명, 6만 3000명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과 40대 취업자가 줄어든 데에는 인구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지난 3월 통계청에 따르면, 일하지 않고 구직활동도 하지 않으면서 이유 없이 쉰 청년이 지난 달 50만 명에 육박했다. 청년을 포함해 그냥 쉬었다고 답한 사람들이 비경제활동 인구에서 차지한 비중도 15%를 넘었다.
지난 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청에서 경북도-영남대-에코프로머티리얼즈-포스코플랜텍과 ‘경북 산·학·관 협력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방소멸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지역 내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때문에 지역 청년의 수도권 이탈이 가속화됐다. 이를 대비해 경북도는 민선 8기 시작 이래 지역 우수기업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개선과 산·학·관 연계 인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청년들의 취업 저변 확대와 지역 정주 모델을 정립하고자, 산·학·관 동반성장 상생 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번 협약은 경북 산·학·관 동반성장 상생 일자리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기업은 필요한 성장 동력을 대학과 연계해, 함께 양성한다. 청년 고용을 촉진할 기반을 조성해, 지역 내 청년의 수도권 유출을 방지한다. 지속 가능한 취업시장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협약내용은 산업체 맞춤식 인력양성 사업 협력이다. 산·학 협력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기타 각 협력 기관의 협업이 필요한 사업 추진 등 각 분야에 대해 상호 협력한다. 구체적으로 영남대는 올 하반기부터 정규 교과과정을 개설한다. 지역 기업 인식 교육 및 기업 맞춤형 특화 캠프를 추진한다. 참여 기업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 포스코플랜텍은 기업특화 교육 지원과 동계학기 중 인턴 십 과정으로 우수 수료자를 지역 청년 채용 연계 등 일자리를 창출한다.
경북도는 산·학·관 동반성장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예산을 지원한다. 신규 채용자 대상 지역 정착금 지원 등 고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북도는 민간경제 중심인 기업 활동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여, 일자리와 연계한다.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위한 행정적 지원에 온 힘을 다한다. 영남대, 경북대와 함께 시범적으로 지역 우수기업을 방문한다. 인식 프로그램, 미래 자동차 등 직무 전문 특강 및 연수 과정과 같이 산·학·관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대학과 기업이 산업현장에 투입할 인력을 공동 육성한다. 기업은 지역대학 출신 인재를 우선 채용한다. 이러면, 지역 내 선순환 일자리 모델이 구축된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산·학·관 일자리 모델의 성공적인 사례를 만든다. 경북도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지금은 일자리 창출을 어떻게 하는가에, 그 지역에 인구도 증가하여, 경제도 발전하고 경기도 활성화한다. 이러기 위해선 경북도의 산·학·관 일자리의 행정에 기대가 아주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