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상주시, 바이오 가스와 수열 등 친환경 에너지 활용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3.03.25 10:01 수정 2023.03.26 06:33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조성한다

우리사회의 계급을 생각하면, 흔히들 자본이다. 하지만 ‘에너지의 빈부격차’로 그 사회를 설명할 수가 있다. 이 같은 에너지의 보다 많이 쓰는 것을 어떻게, 사회가 잘 조정하는가에 따라, 그 사회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가 있다. 

우선 바이오다. 바이오산업은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바이오기술(Biotechnology)은 생물체 기능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든다. 유전적 구조를 변형시켜,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게 하는 복합적 기술이다. 바이오 산업(bio-industry)은 바이오테크놀러지(biotechnology)를 기업화하려는 새로운 산업 분야다. 효소를 사용해 물질을 합성하는 바이오리액터(bio-reactor)등 생체기능 자체를 응용한 기술이다. 

지난 1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따르면, 국민 4명 중 1명은 올해 경쟁력이 필요한 기술로 ‘첨단바이오’를 들었다. 연구원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25.4%가 이같이 답했다.

그 다음은 탄소중립이다. 탄소중립은 개인,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 동맹’에 가입했다. 온실가스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계산한다. 탄소의 양 만큼 나무를 심는다. 풍력·태양력 발전과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오염을 상쇄한다. 2022년 유엔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가장 큰 변화는 해수면 상승이다. 해수면 1.1m 높아지면, 여의도 172개 면적이 사라진다. 이때부터 지구촌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가 없다.

상주시가 탄소중립 그린뉴딜 사업들을 진행, 추진 중이다. 상주시는 바이오 가스와 수열 에너지 등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다. 에너지 절감과 탄소중립 그린뉴딜 정책의 선도적 도시로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 등 4개 사업을 한다. 예산은 450억 4,600만 원(국 293억 700만, 도 47억 2,100만, 시비 110억 1,800만 원)이다. 지난 2021년부터 5년간 이 사업을 완료한다.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사업은 상주시 냉림동 387-1번지와 북천 일원에 오는 6월까지 사업비 총 166억 6,7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쿨링 포그 632ⅿ, 전기차 충전 200KW 16기, 클린로드 2㎞, 생태수로 413ⅿ, 옥상 녹화 420㎡, 태양광시설 40.5KW, 식생체류지 653㎡ 등을 갖춘다.

상주 관내인 낙동면 분황리 464-20번지에 들어설 바이오 가스화 시설 조성은 총 사업비 170억 5,700만 원을 투자한다. 가축분뇨·음식물 쓰레기 등 1일 평균 130㎥을 생산하는 바이오연계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 설계를 용역 했다. 스마트팜혁신밸리 및 상주시 상하수도사업소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공공시설물에 총 사업비 53억 2,200만 원을 투입한다. 낙동강 수열 에너지 조성 사업도 설계업체 선정을 위해 공모 중이다. 친환경 에너지 타운조성은 낙동면 분황리 44-1반지에 사업비 총 60억 원을 투입한다. 시설하우스, 태양광 발전소, 쉼터 등의 시설이다. 분황·신상·화산·상촌2리 등 4개소 마을 주민들이 참여하는 주민 주도형 사업으로 현재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상주시 관계자는 가축 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 등은 협오감을 가진 기피 시설물이기에 주민들이 부정적 인식을 가져 이를 개선한다. 이 모두가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친환경도시를 조성' 하는데 그 목적을 둔 사업들이다. 시설물 건립지 주민들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경북도는 예산을 대폭 증액하여, ‘행정 환경’의 경계선을 없애야한다. 에너지 빈부격차도 상호간에 적절한 선에서, 빈부격차를 해소를 국정과제로 삼을 것을 권유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