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포항이 고향이다. 그동안에 고향을 버리고, 간다는 소식이 포항시민의 가슴을 멍들게 했다. 포스코(POSCO)는 포스코그룹의 중심 기업이다. 더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기업이다. 1968년 설립된 포항종합제철(주)이 모태다. 1970년대 영일만에 포항제철소를, 1980~90년대에 광양제철소를 준공했다. 1998년 조강생산 기준 전 세계 1위의 철강회사로 성장했다.
2000년 민영화 이후, 해외 거점에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독자 기술을 개발해왔다. 1970년 7월 조강 연산 103만 톤 규모의 포항제철소 1기 설비에 이어, 1976년 2기, 1978년 3기, 1981년 4기 1차, 1983년 4기 2차 설비를 차례로 준공하면서 조강 연산 910만 톤 규모로 성장했다.
1980년대에는 1985년 3월 광양제철소 1기 설비 착공을 시작으로, 1992년 10월 종합 준공식까지 바다를 메워 제철, 제강, 압연 공정을 직결하는 최신 제철소를 건설했다. 여기서 ‘바다를 메워는’ 포항시의 바다 환경의 황폐화를 포항시민들은 그래도 참았다. 포항시에 일자리 등을 창출했기 때문에 그렇다.
2019년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인 WSD(World Steel Dynamics)는 뉴욕에서 제34차 글로벌 철강 전략회의(Steel Success Strategies)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World-Class Steelmaker Rankings)로 포스코가 선정했다. 1999년 설립된 WSD는 철강분야의 권위 있는 글로벌 전문 분석 기관이다. 매년 전 세계 Top 34개 철강사들을 대상으로 23개 항목을 평가한다. 이를 종합한 경쟁력 순위를 발표한 자리에서다.
지난 17일에 1여 년간 지역을 들끓게 했던 ‘포스코 지주회사(포스코홀딩스)소재지의 포항 이전’ 안건이 포스코홀딩스 주주총회를 통과했다. 이강덕 포항 시장과 지역 각계각층 및 시민은 포스코 지주회사 소재지 포항 이전 안건이 주주총회를 통과해, 포항 이전이 확정됐다는 소식에 일제히 환영했다.
지주회사 소재지 문제로 지역사회와 극심한 갈등을 빚어온 포스코그룹은 작년 2월 25일 포항시와 지주회사 소재지 포항 이전에 관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상생협력 T/F도 구성했다. 수 차례에 걸쳐, 구체적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하지만 포항시민의 기대를 그때마다 배신했다. 협상은 기대와는 달리 지지부진했기 때문이다.
포항시와 포스코는 계속된 노력에 힘입어, 마침내 지주회사 소재지 포항 이전이 확정됐다. 그간 포항시민이 범시민 총궐기 연대 서명을 시작으로, 포스코 지주회사 소재지의 포항 이전을 강력하게 요청한 이유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위기’의 극복이라는 중요한 국가과제와 크게 맞닿아 있기 때문이었다. 현재 지방소멸 위기는 실로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합계 출산율이 역대 최저 수준인 0.78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였다.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으로 2022년 3월 기준, 지방소멸 위험지역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113개로 약 절반(49.6%)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53만이었던 포항 인구가 지난해 50만 명 선이 붕괴됐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시민은 포스코그룹이 본사의 실질적 기능 이전과 미래기술연구원 본원 구축 등 최종 합의 이행을 위해 지속 노력했다. 아울러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연구 중심 의과대학 설립, 친환경 수소에너지 산업도시 조성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기를 원했다.
이강덕 포항 시장은 지방소멸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이한 지금, 지역 균형발전은 결코 정부의 힘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 기업이 적극 나서 지역경제를 살려, 일자리를 창출해야한다. 지역민과 소통하는 등의 사회적 책무를 다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 포항시는 포스코 경제와 경기를 축으로 해양물류 등 경제발전을 보다 다양화 할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