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지구 표면의 71%다. 2021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발의한 ‘해양환경보호 성명서’에 따르면, 바다가 인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 공간임을 강조했다. 해양 건강성 악화, 서식지 파괴, 환경오염물질, 기후변화, 남획 등 바다를 되찾기 위한 다섯 가지 과제를 담았다.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등 해양환경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추진하는 국제기구들과도 협력해, 대응책을 마련한다.
2022년 6월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국내 총 해안선길이는 1만 5257.8㎞라는 최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해안선 총 길이는 1만 5,257.8㎞로 2014년 통계(1만 4962.8㎞) 대비 295km증가했다. 2021년 통계(1만 5281.7㎞) 대비 23.9㎞ 감소했다. 자연 해안선은 약 50.4㎞ 감소했다. 인공 해안선은 약 26.5㎞ 증가했다. 자연 해안선은 전체 해안선의 약 64%를 차지하는 9771.4㎞이었다.
변화의 주요 원인은 연안 매립, 방파제·해안도로 건설 등 연안개발, 그리고 해수면 상승, 기후변화에 따른 침·퇴적, 조사방법 정밀화 등에 따른 것이다. 2021년 정부의 향후 10년간 해양환경 미래 비전과 추진전략 등을 담은, ‘제5차 해양환경 종합계획’(2021∼2030년)에 따르면, 해양 쓰레기는 2018년 기준 14만 9,000t이었다. 2030년에는 이를 절반 수준인 7만 4,000t까지 줄인다. 2021년 1월 해양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 폐기물 정화사업으로 해양 침적 쓰레기 3,191t를 수거했다.
경북도가 지방시대를 주도하는 미래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올해 해양·수산·관광분야 437개 사업에 총 1,576억 원을 투자한다. 고부가가치 수산업 달성과 어촌 활력을 증진한다. 청년이 돌아오는 어촌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목표로 양식 시설 및 수산가공 시설을 현대화한다. 어촌어항 지역도 현대화한다. 조업환경 개선 등 100개 사업에 765억 원을 투자한다.
세부사업은 낙후된 어촌 개발을 위한 어촌뉴딜 사업에 211억 원을 투입한다. 내수면 신성장 동력 마련을 위한 관상어(觀賞魚)비즈니스센터 건립 87억 원, 양식 산업의 6차 산업화 및 연어 대량 양식 기술 확립을 위한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에 98억 원을 투입한다. 동해의 보물인 독도 접근성 강화와 주권 확보를 위해 독도 관리선 및 박물관 운영 지원 등 33개 사업 70억 원을 투자한다. 연안 침식의 체계적 관리와 신규 탄소중립원인 블루카본 연구 등 청정 해양환경 조성과 물류 거점항 육성을 위한 항만사업 추진 등 30개 사업에 254억 원을 투입한다.
지방시대에 걸맞게 트렌드를 선도하는 환동해 해양레저 관광저변을 확대한다. 해양치유센터 조성 51억 원, 청소년 해양 교육원 건립 27억 원을 투입한다. 관광 인프라 구축과 콘텐츠 확대로 어촌지역 관광수요 창출을 위해 전촌항 거마보행교 건립 9억 원, 문무대왕 해양역사관 건립 36억 원 등 42개 사업 254억 원을 투자한다.
친환경 배합사료 지원 및 특화양식 품종 개발 등 선진기술 보급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등 방사능을 포함한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35개 사업 106억 원을 투입한다. 풍요로운 경북 어장 조성을 위해 고부가 품종 개발 및 자원조성을 추진한다. K-연어 양식기술 확보를 위한 스마트아쿠아 팜 연구기반 시설 추진 등 30개 사업에 127억 원을 투입한다.
김중권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해양수산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 추진을 적극 지원한다. 그러나 지금 바다는 자정(自淨)능력을 점차 잃어간다. 자정 없는 바다에 1,576억 투자도 해양쓰레기로 변할 수도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에 50%의 국비를 보조한다. 50%의 국고를 보조한들 바다 쓰레기는 한계에 도달했다. 전액 국고로 쓰레기를 치워야 한다. 이대로 방치한 쓰레기를 두고, 지자체의 어촌어항사업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