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미래 모빌리티(mobility)라고 했으나, 시대는 벌써 모빌리티의 상용화시대다. 모빌리티는 사람과 사물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 수단, 혹은 지능형 서비스다. 모빌리티 유형은 렌터카, 택시, 자전거, 전동 킥보드, 드론, 철도 등의 이동 수단이다.
모빌리티 기술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해, 삶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전동 휠, 전동 킥보드 등 첨단 충전·동력기술이 융합된, 1인용 전동 이동수단 등이다. 하지만 관련 법안과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불법과 안전 우려가 크다.
도로 교통법 상 퍼스널 모빌리티 대부분은 원동기 장치 자전거에 해당해, 공원이나 인도에서 타는 것은 불법이다. 2019년 인터파크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는 이 기간 매출이 270% 증가했다. 전동 스쿠터는 236%, 전기 자전거는 56% 각각 늘었다.
지난 7일 대구시가 양금희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지역 자동차 부품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전환을 위한 미래 모빌리티 모터 특화단지 유치 및 조성 방안을 모색하기위해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모터 관련 전문가 80여 명이 참석,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계명대 김범준 부총장의 ‘대구 미래 모빌리티 산업현황과 특화전략’에 대한 기조를 발표했다.
연세대 이우영 교수가 좌장을 맡아, ‘대구 미래 모빌리티 모터 특화단지 조성 방안’에 대해 지역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토론했다. 토론은 윤선홍 현대케피코 상무, 강기봉 경창산업 부회장, 감병우 대동모빌리티 상무, 정재학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단장, 이주 한양대 교수,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이승대 대구시 혁신성장실장 등이 참여했다.
그동안 대구시는 지역 핵심 제조업인 자동차 부품산업이 환경 규제 및 탄소 중립 정책에 따른 신산업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미래 모빌리티 선도 기술 개발 지원 사업’ 및 ‘미래형 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기반 조성 사업’ 등 다각적인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했다. 대구를 중심으로 ‘경기~대구~동남권’으로 연결된, 미래 모빌리티 전동화부품 밸류체인은 전국 최대 부품 공급벨트가 됐다.
대구시는 테크노폴리스 및 국가산단 중심으로 모터 산업을 특화해, 집적화, 고도화, 혁신화를 추진했다. 기존 자동차 산업 중심의 단지 조성과 정주여건은 급변하는 국내외 미래 모빌리티 산업시장의 요구와 대응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전국 최고 수준의 부품 및 차량 시험·실증환경을 갖춘 대구시가 미래차 선도 도시로써의 위상을 갖추기 위해서는 모터 특화산업 집적화와 부품·소재·수요기업 간 밸류체인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포럼에선 대구시가 지역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미래 모빌리티 부품산업 선도도시로 자리 매김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선정 등에 중점을 뒀다. 관계 전문가의 다각적 의견수렴으로 모터 특화단지 조성 역량을 결집했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수요와 공급 기업 간 협력 및 혁신 체계 구축을 위한 산학연 클러스터 추진을 위해, 지난 2020년 5월 특화 단지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2021년 2월에는 반도체와 정밀기계, 탄소소재,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5개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특화단지를 지정했다. 올해 상반기 내에 미래차와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한다.
이종화 경제부시장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모터산업 육성에 최선을 다한다. 국힘 양금희 의원은 대구시가 모빌리티 모터 제조·생산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소부장 특화단지 조성을 적극 뒷받침한다. 포럼 개최 이유는 대구시가 미래모빌리티 모터 특화단지의 지정이다. 대구시는 포럼에서 나온 말들을 종합해, 현재 상용화에 들어선 것을 더욱 발전시켜, 대구시가 선도·견인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