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제

전경련, 아직도 ‘첩첩산중’

뉴시스 기자 입력 2017.04.24 14:33 수정 2017.04.24 14:33

고강도 쇄신안 신뢰회복․구조조정 갈길 멀어고강도 쇄신안 신뢰회복․구조조정 갈길 멀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기업연합회로 조직 명칭마저 바꾸는 대대적인 혁신을 선언한지 한달이 지났지만 아직 갈 길은 첩첩산중이다. 전경련이 회생을 위해서는 회원사들의 신뢰를 되찾아야 하지만, 한달전 꺼내든 혁신안이 아직 구체적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어서다. 때문에 최순실게이트로 정경유착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는 전경련에 대한 여론은 아직도 싸늘한상태다. 전경련은 지난달 24일 회장단 회의 폐지, 한국기업연합회로 개명 등 고강도 혁신안을 발표했다. 이는 4대 그룹 등 주요 회원사들이 줄줄이 탈퇴하고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의 해체 요구가 거센 상황에서 나온 것이었다. 전경련은 개혁안을 제대로 신속히 실천함으로써 추락한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으나 아직은 대부분 답보상태에 빠져 있다. 쇄신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경영이사회 구성도 아직 이뤄지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최대 자금줄이었던 삼성, 현대차, LG, SK 등 4대 그룹이 탈퇴하면서 불가피했던 조직 개편과 예산 축소를 진정한 의미의 쇄신안으로 볼 수 있느냐는 지적도 계속되고 있다. 10대 그룹 한 관계자는 한달이 지난 전경련의 행보를 두고 "간판을 바꾼 것밖에 변한게 없는 것 같다. 요즘 세상이 간판을 고쳐단다고 해서 통하는 시대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안타깝다는 게 얘기다. 정경유착 근절 쇄신안도 해묵은 레파토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전경련은 1996년 노태우 정부 당시의 정치자금 수사가 본격화되자 기업윤리헌장을 발표하고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지만 20년만에 도돌이표 쇄신안을 내놓은 꼴이다. 이번에는 사회본부 폐지 등 방안을 내놨지만, 과거 사례로 볼때 전경련은 수차례 혁신을 통해 정경유착을 끊겠다고 다짐하고도 단 한번도 지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경제단체라는 골격을 유지하는 한 정권의 강압이나 입맛에 따라 언제든 정경유착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재계 관계자는 "명칭 변경만으로 얼마나 혁신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며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고 국가에 반드시 필요한 경제단체로서 다시 거듭나기 위해 앞으로의 답보상태에서 벗어나 행보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간판을 바꾼 한국기업연합회가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쇄신을 꾀하고 제대로 된 역할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역시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또다른 재계 관계자는 "지난달 전경련의 쇄신안이 기대했던 것보다 강한 변화 의지를 느끼기엔 힘들다"면서 "향후 정경유착 창구에서 벗어나서 재계를 진정으로 대표하는 창구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환골탈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당장 조직과 인원 구조조정도 문제다. 전경련은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임원과 팀장급의 임금 삭감도 추진한다. 전경련의 희망퇴직은 2003년 이후 14년 만이다.현재 전경련 직원 수는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소속 직원을 포함해 180명 정도다. 전경련은 또 직원 임금 삭감, 복지 축소 등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 슬림화를 통해 기업 형태의 조직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목표다. 다만 이같은 구조조정은 노사 협의사항이어서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전경련은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서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해야 하는 상황을 알리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있지만 일방적인 소통 방식이나 절차 진행에 대한 내부 불만이 나오고 있다.전경련 관계자는 "임금 삭감은 현재 구두로 전달된 사항이고 사측이 희망퇴직과 관련해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전경련 쇄신안이 언제쯤 구체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뉴시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