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이 마련되었다고 하지만 구미, 합천, 거창 등 영남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세다. 해당지역의 행정절차와 주민동의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대구·부산 취수원이전과 강변여과 사업추진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지역갈등 해소와 낙동강본류 수질개선 대책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먼저 안전하고 맑은 식수공급이 가능한 현실적 대안부터 찾아내고, 친환경 수질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특단의 대책을 수립하여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91년 페놀사고 이후 다이옥산과 과불화화합물 까지 계속하여 반복되는 독성유해물질 오염사고는 친환경 수질개선과는 전혀 다른 외부요인이므로, 취수원을 산업단지 상류로 이전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전제조건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대구취수원은 북부지역 최상류로 이전하여 독성유해물질 오염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강물이 흐르는 경북도청 신도시부근에서 1일 100만 톤 지방광역상수도사업으로 취·정수장을 설치하여 1차 정수처리한 원수를 공급하면, 대구, 구미, 상주에서 현재 상수도시스템 그대로 2차 정수처리 하여 안전하고 맑은 물을 공급하고, 현재 대구취수장에서 1일 100만 톤을 상류취수지점으로 순환시켜주면 된다.
부산지역도 똑같은 방법으로 남강이나 황강 등 수계의 최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여 지방광역상수도사업으로 1차 정수처리한 원수를 중·하류지역에 일괄 공급하고, 하류에서 취수량만큼 상류취수지점으로 순환시켜주면 된다.
이러한 강물선순환시스템을 ‘강물순환공법’이라고 하며, 하류에서 순환시킨 강물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중·하류지역도 모두 최상류수로 일괄공급 하여 지금보다 훨씬 안전하고 맑은 물을 공급해준다.
이렇게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이 통합 상수도로 상생발전 할 수 있는 지방광역상수도는 취·정수장 운영인력 200명 고용창출과 연간 300억 원의 요금수입으로 소멸위기에 처한 상류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중류지역은 지금보다 더 맑은 최상류수를 무상으로 공급받고, 하류지역은 2,000여 종류의 독성유해물질 오염공포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일석삼조의 WIN-WIN-WIN 전략이다.
다음으로 낙동강 재자연화로 불리는 친환경 수질개선 대책은 다각도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보 개방을 위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상에 저수지를 건설하고 자연유하로 논밭에 흘러들게 해야 한다. 이렇게 지상에서 7만 개의 저수지를 사방으로 분산배치하면 논밭 가까이서 가뭄을 해결하고, 전국에 지하수도 골고루 스며들며, 도랑물이 흘러내려 자연생태계도 되살아난다.
그리고 낙동강 최상류의 제련소와 광산은 이전이나 개선으로 중금속을 차단할 수 있는 별개의 정책이 필요하다. 낙동강 물 문제는 수질, 수량과 외부의 오염사고 및 상수원보호구역 등 복합적이므로, 각 요인별로 개선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
다시 말하면 독성녹조는 보를 철거하여 해소하고, 산업단지 유해물질은 최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해야 원천차단 되며, 상수원보호구역지정도 상류가 쉽다.
이렇게 내·외부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분별하지 않고 단순한 수질개선으로 취수원을 이전하지말자는 주장은 낙동강 재자연화를 강조한 의미로 해석되며, 불가항력인 산업단지 유해물질 오염사고는 취수원을 최상류로 이전해야 안전하다. 이제는 더 이상 일방적으로 물을 끌어만 오겠다는 방식을 탈피하여 ‘강물순환공법’ 지방광역상수도로 최상류지역에서 취·정수하여 공급해주는 지역수리권을 인정해줘야 한다.
지방분권 차원에서도 지역수리권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지방에 수계의 수질보전 책임과 수리권을 동시에 부여해야, 맑은 물이용과 지역경제가 선순환구조로 지속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새 역사를 창조한 통합신공항의 여세를 몰아, 올해는 통합 상수도로 대구경북 상생발전의 쌍두마차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