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 구조조정 영향으로 경남과 울산 지역 실업률이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의 고용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경남 지역 실업자 수는 6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3000명(56.0%)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국 실업자 수가 92만9000명에서 98만5000명으로 6.0% 늘어난 것에 비하면 전국 평균보다 7배가량 높은 수치다. 울산 지역 실업자 수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울산 지역 실업자 수는 지난해 3분기 1만7000명에서 올해는 2만3000명으로 35.2% 늘어났다.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이들 지역의 실업자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전국 평균을 밑돌았던 이들 지역의 실업률도 상승했다. 지난해 2.8%에 머물렀던 울산 지역 실업률은 올해에는 3.8%를 기록했다. 경남 지역 실업률은 2.3%에서 3.6%로 올랐다. 전국 평균이 3.4%에서 3.6%로 0.2%포인트 오른 것과 대비된다. 특히 30~59세 청장년층에서 실업률이 큰 폭으로 올랐다. 전국에서 청장년층의 실업률이 2.6%에서 2.5%로 감소할 때 경남(1.7%→3.1%)과 울산(1.7%→2.6%)에서 1%포인트 가량 증가했다. 청장년층 실업률이 1% 안팎으로 크게 오른 지역은 이들 지역이 유일하다. 가장들이 많은 청장년층의 실업은 자녀의 학비와 노부모의 부양 등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계층의 실업보다 여파가 크다. 급증하는 실업률은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수로도 확인된다. 올해 2분기 기준, 울산과 경남지역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수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울산 지역의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70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56명(36.1%)이나 늘었다. 경남지역도 1만 6059명으로 1397명(9.5%)이 증가했다. 경남·울산 지역 고용의 질도 점차 악화하고 있는 상태이다. 지난해 3분기에 156만명을 기록한 일용 근로자 수는 올해에는 148만2000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일용 근로자 수가 줄었지만 경남과 울산 지역에서는 각각 5000명, 1만1000명 늘었다. 반면 상용 근로자 수는 전국적으로 1268만6000명에서 1300만2000명으로 2.4% 늘어날 동안 되레 경남과 울산은 각각 6.3%, 5.4% 줄었다. 일자리를 유지하더라도 임금이 밀린 경우도 급증했다. 8월 말 기준, 경남 지역 체불 임금은 929억원으로 연말에는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 지역 체불임금은 지난해와 비교해도 30% 가까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