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이 느껴지는데. 지진 규모가 어떻게 되죠?”(뉴시스) “지금 지진이 발생했습니까?”(안전처) “예? 지진 문자는 발송했습니까?”(뉴시스) “우리도 확인 중입니다. 지역 주민이 아니면 언제 문자가 발송됐는지 볼 수가 없습니다.”(안전처) ‘규모 4.5 경주 지진’ 발생한 지난 19일 저녁 뉴시스 취재진과 안전처 직원 사이에 나눈 대화다.지진과 관련한 피해상황이나 신고접수 등 기초적인 정보도 출입기자들에게 두시간 동안이나 제공되지 않았다. 재난 상황 속에서 안전처는 그야말로 ‘불통’이었다.계속된 여진으로 경주 일대 주민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는데 국민 안전을 책임진다는 안전처의 안전 불감증과 무기력한 태도는 말 그대로 가관이었다.다음날인 20일 오전. ‘각 부처와 지자체가 (경주 여진에) 신속히 대응했다’(경주 여진 대처상황 보고) ‘4차례에 걸쳐 경주와 경북지역, 울산 등지에 문자를 발송했으며 홈페이지의 안정성 문제 등을 검증할 계획이다’(해명자료)국민안전처가 부랴부랴 내놓은 황당한 해명자료 2건과 지진상황 보고서 1건의 골자다.이날 안전처의 해명과 달리 전날 안전처는 여진 발생후 12~15분이 지나서야 재난문자를 날렸다. 앞서 지난 12일 규모 5.8의 강진 당시 폭주하는 국민들의 접속으로 먹통이 되자 곧 바로 처리용량을 80배 증설했다던 안전처 홈페이지는 이날도 또 다시 먹통이 됐다. 사태가 이지경인데도 신속히 잘 대응했다니...뻔뻔하다.해명자료를 읽는 기자 스스로가 낯뜨거울 정도다.잇단 지진으로 지역 주민들은 극도의 불안감과 공포감을 호소하고 있는데도 안전처는 태평스럽게도 “여진이다”, “피해가 심각하지 않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 우리 사회가 2014년 11월19일 ‘재난 안전의 콘트롤타워’를 하라고 안전처를 만들었지만 현재까지는‘콘트롤’은 사라지고, 국민 위에 우뚝 솟은 ‘타워’ 노릇만 열중하는 모양새다. “지진보다 안전처의 무능력한 대응이 더 무섭다.”안전처의 무사안일한 모습에 분통을 터뜨린 네티즌이 남긴 댓글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