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새 지도부가 친문재인계로 구성되면서 문재인 전 대표를 제외한 김부겸 의원, 박원순 서울시장, 손학규 전 상임고문,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당내 잠룡들이 적잖은 압박을 받게 됐다.경선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문 전 대표의 입김이 세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다른 대권주자들의 의사는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가 됐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일각에선 비문 잠룡들의 등판을 촉진하기 위해선 대선후보 경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일종의 유인책이 강구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대의원과 당원에서 모두 친문계가 절대적 우위를 보이는 상황에서 비문 잠룡들이 작은 희망이라도 갖고 출마하기 위해선 탈락한 후보들의 표를 끌어 모아 역전을 노리는 결선투표 방식이 필수적이란 것이다.실제로 비문 잠룡들 사이에선 이번 전당대회 과정에서 친문계의 고립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희망 섞인 분석이 제기된다. 특히 여성위원장 선거와 서울시당 위원장 선거에서 민평련 소속인 유은혜 의원과 민평련 출신인 박홍근 의원이 친문계인 양향자 후보와 김영주 의원에 각각 패했다. 이 때문에 범주류로 평가받던 민평련과 친문계의 간극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결국 민평련을 비롯해 당내 손학규계를 비롯해 비주류 세력을 총동원하면 역전의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친노무현계 중 안희정 지사와 가까운 이른바 '친안계'가 분화해 비주류 쪽과 연대한다면 '문재인 대세론' 역시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하지만 비문 잠룡이 문 전 대표를 위협하기 위해선 다른 조건들도 충족돼야 한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대선후보 경선 투표 반영비율에서 대의원과 당원, 즉 당심(黨心)의 영향력을 축소해야 하고 대신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민심(民心)을 최대한 반영해야 공정한 경선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비주류로부터 제시되고 있다.당내경선 시기 역시 관건이다. 더민주 당헌상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선거일 전 180일까지 마쳐야 한다. 그런데 지자체장들이 임기만료 1년(내년 6월) 시점이 지난 후에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그만두면 해당 지자체는 보궐선거 없이 직무대행이 남은 임기를 소화하지만 만약 현직 지자체장들이 이 시점 전에 그만두면 대선과 함께 보궐선거가 치러져 해당 지자체를 타당에 넘겨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경선 시기가 앞당겨지면 박원순·안희정·이재명 등 현직 지자체장들은 보궐선거에 대한 부담을 안게 된다. 대선후보가 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내년 6월 이전에 사퇴했다가 경선에서도 지고 나아가 보궐선거에서 더민주 후보가 타당 후보에 패하게 되면 그 책임까지 떠안게 된다.이 문제 때문에 더민주 내에선 내년 초에 경선을 치러 대선후보를 빨리 뽑자는 의견이 자취를 감췄다. 조기 경선 주장이 자칫 현직 지자체장들에게 불리한 조건을 강요하는 모양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일각에선 이같은 제도보다 온라인상에서 활동하는 문 전 대표 지지자들의 행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있다. 더민주 전당대회 후 친문 지도부에 우려를 표명한 김한정·김현미 의원이 온라인상에서 비난·욕설 댓글에 시달렸다. 문 전 대표를 제외한 대권주자들도 문 전 대표 지지자들의 온라인 공세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선 "의원들이 문 전 대표 지지자들이 두려워 자기검열을 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위험하다"는 목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