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오늘 3.5일간의 연차휴가에서 돌아와 청와대 업무에 복귀하는 가운데, 아랍에미리트(UAE) 방문과 관련해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있을지 주목된다. 임 실장의 UAE 방문을 둘러싸고 정치권 안팎으로부터 각종 설(說)이 제기되고 있어서다.임 실장은 지난 9일부터 2박4일간 UAE와 레바논을 방문했으며, 1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임 실장은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방중(訪中) 일정을 떠난 13일부터, 문 대통령의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 전인 18일 오전까지 근무한 뒤 18일 오후부터 21일까지 연차를 냈다.임 실장은 2박4일간 대통령 비서실장으로서 UAE 아크부대, 레바논 동명부대 장병들을 격려 방문했고,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왕세제와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을 예방했다.당초 청와대도 임 실장이 이같이 군(軍) 장병들을 격려하고, 외교일정을 수행키 위해 UAE와 레바논을 방문한다고 설명했지만 야당, 언론 등 일각에서 각종 설이 제기됐다. 대통령 비서실장이 14년 만에 외국특사로 파견 된데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이미 지난달 부대들을 방문했다는 점 때문이다.가장 초기에 제기된 설은 임 실장의 '북한 인사 접촉설'이었다. 한반도 상황이 엄중한 가운데 레바논이 여전히 북한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임종석 역할론'이 제기된 것이다.그러던 중 한 언론에서 '임 실장의 방문은 이전 정권의 비리와 연관이 있다'는 보도가 나온 뒤, 임 실장의 UAE 방문 이유는 급격히 이명박(MB) 전 대통령과의 연관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UAE 바라카 지역에서는 MB정부 당시 한국수력원자력이 수주한 '한국형 원전'이 건설 되고 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각각 14일과 15일, MB정부와 UAE간 원전수주 과정을 두고 문재인정부가 비리와 같은 이야길 퍼트려, UAE에서 격렬히 항의를 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UAE에서)'국교 단절'까지 거론하면서 비난하자, 이를 수습하고 무마하기 위해 임 실장이 달려갔다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고 했다.여기에 18일 한 언론에서 임 실장과 모하메드 왕세제간 면담에, 한국이 수주한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건설사업 총책임자인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UAE원자력공사(ENEC)이사회 의장이 참석한 사진이 공개돼 이 같은 의혹에 무게가 더해졌다. 같은 날, 또 다른 언론에선 임 실장의 UAE방문에 서동구 국가정보원 1차장이 동행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보도했다. 공교롭게도 서 차장은 지난 2008년 한국전력의 해외자원개발 자문역을 지냈다.지난 20일에는 청와대 핵심인사를 인용해 "임 실장을 UAE에 파견한 데에는, 연말까지 해결해야할 '시급함'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당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말까지 확실히 털어야할 문제가 있어서 간 게 아니다."고 부인했지만, 그렇다고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진 못했다.오히려 이 관계자는 "모든 추측성 기사와 야당이 주장하는 내용은 사실과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면서도, "MB정부 때 UAE에 (원전을)수출한 다음에는 관계가 좋았는데, 박근혜정부로 들어와 소원해졌다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언급해 또 다른 궁금증을 낳았다. 이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들어 무엇 때문에 UAE와 관계가 소원해졌는지, 그 배경은 설명하지 않았다.같은 날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임 실장의 UAE 방문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청와대에서 설명한 내용 외에 더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의 연말 휴가가 있을 것으로 전망돼 임 실장이 먼저 연차 소진에 나섰다는 풀이도 나오지만, 임 실장의 급작스러운 연차에도 의문이 남고 있다. 더군다나 임 실장은 오후 반차를 낸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 대통령 초청 재외공관장 만찬에는 자리했다.이 때문에 일각에선 임 실장이 일련의 설들을 잠재우기 위해 직접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지만,청와대는 그런 상황은 희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임 실장은 복귀하는 오늘 오전부터 일정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뉴스1과 만나 "과거엔 중대한 외교문제임을 감안해달라고 요청하면 (정치권 모두)이해해줬는데 지금은 이 일이 너무 화제가 되다보니, '반드시 말을 해야 한다'고 옥죄는 상황으로 온 듯하다."고 말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