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가야고분군, 2020년 세계유산등재 학술대회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7.12.03 13:27 수정 2017.12.03 13:27

‘통일성 부족’가야사의 연구부터 시작해야 ‘통일성 부족’가야사의 연구부터 시작해야

역사는 신화로부터 시작한다. 신화에서 역사 안으로 들어오면, 유적 등에 따라 신화와 역사 기록을 상호간 증명한다. 이 같은 유적과 기록에서 늘 가야고분군은 우리 역사에서, 일부 빠지는 비운이란 측면의 운명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가야고분의 역사를 드러내는 것에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가야 문화권 개발’을 ‘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지역개발지원법)상 ‘지역개발사업’으로 지정해,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역개발계획 사업은 2015년 개발촉진지구 등 기존에 유사하거나 중복된 지역개발제도를 통합한 내용으로 지역개발지원법이 만들어졌다. 가야문화권 개발 사업은 2010년 12월 승인된 ‘가야 문화권 특정지역 지정 및 개발계획’에 의해 달성군과 고령군, 함안군 등 경남·북 8개 군(931.9㎢)에 총사업비 9천158억 원을 투입해, 37개 사업을 진행한 내용이다. 7년이 지난 현재 21개 사업에 2천629억 원이 투입돼, 추진율은 지난 6월 현재 28.7%밖에 되지 않았다. 가야는 기원 전후 생겨나 한반도 남부에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연맹’을 이뤘던 나라이다. 562년 대가야가 신라에 항복하면서 소멸의 운명을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정과제에 포함할 것을 지시함에 따라, 우리 역사로써의 비운에서 겨우 벗어나게 되었다. 벗어난 것은 좋은 일이나, 가야사를 두고선 우선 ‘가야사 학계’에서조차 일부가 아닌, 전체적인 면에서조차 통일된 견해가 아직껏 부족한 실정이 아쉽다. 국사학계에선 고대 정치구조의 발전 단계를 ‘씨족사회-부족국가-부족연맹-고대국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이다. 가야는 신라처럼 강력한 왕국에 이르지 못한 것에 기인하여, 이전 단계인 ‘연맹’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가야에 대한 일반적인 이와 같은 학설에서, 가야사를 두고, 최고의 금관가야란 학설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이 같은 복잡성의 학설에도, 통일된 것은 가야를 국사서 밝혀야한다는 것엔 일치를 보였다. 일치에서 하나 되기 위해, 문화재청‧경북도‧경남도‧김해시‧함안군‧고령군 6개 지자체에서 2020년에 가야고분군(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고령군은 지난달 30일 대가야박물관 강당에서 관계기관 및 학계 전문가, 가야고분군 주민협의회 회원 등이 참석한 가야고분군 보존관리 방안을 토론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가야고분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부합했다. 보존관리 계획과 활용방안을 위한 학술대회였다. 김해군‧고령군‧함안군 학예연구사의 가야고분군 보존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한국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박진재 팀장은 ‘세계유산협약 운영지침에 근거한 연속유산의 보존관리방안’, 서울대 김종일 교수의 ‘경관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가야고분군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활용’이라는 주제 발표가 있었다. 종합토론은 인제대 이영식 교수가 진행했다. 경북대 이성주 교수, 서울시립대 김영수 교수 등 관련분야 최고 권위자들이 참석하여, 토론했다. 이번 토론은 13명의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돼,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지난 9월 28일엔 김해박물관 대강당에서 국내 가야사 최고 권위자들이 참여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여, 세계유산에 등재된 고구려, 신라, 백제, 일본의 고분군과 가야고분군을 비교 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었다. 가야사에 대한 정부의 방침, 예산의 투입, 여러 학술대회 등에서, 지금껏 느낌은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제 해당군은 이와 같이 통일성의 부족을 채울 방안을 찾아야겠다. 우선 정부의 예산 투입에서, 가야사의 연구 인력을 하나로써 통일성을 가져야한다. 이 결과를 두고, 앞으로 유네스코 등재를 논의할 수가 있다. 등록 추진 때엔, ‘가야사연구팀’의 성과물에서부터 ‘등재팀’은 급하게 서둘 것이 없으나, 준비만은 빈틈이 없어야한다. 이때부터 ‘연구팀과 등재팀’은 등록을 강력히 추진할 것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